경부고속도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노선
(경부 고속도로에서 넘어옴)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또한 대한민국 최장거리의 고속도로이기도 하며 거의 모든 구간이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1]

고속국도
1
고속국도 제1호선
경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1]
노선도
총연장416.1 km
개통년1968년 12월 21일(잠원~수원)
1968년 12월 30일(오산~수원)
1969년 9월 2일(천안~오산)
1969년 12월 10일(대전~천안)
1969년 12월 29일(대구~부산)
1970년 7월 7일(서울~부산 전 구간)
기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주요
경유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영천시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김천시
충청북도 영동군
충청북도 옥천군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성남시
서울특별시
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주요
교차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9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
사용 기간1983년 ~ 1997년
노선명경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호선)
기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종점부산광역시 금정구

개요

편집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완공되었다. 거의 모든 구간이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구간의 일부이다.[1] 본래 경부고속도로였던 양재 나들목 ~ 한남대교 구간은 2002년 12월에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었으며, 현재는 단순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자전거, 보행자, 우마차, 손수레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는 긴급자동차로 지정된 이륜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나 그 외의 이륜자동차와 초소형 전기자동차, 농기계 등은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차로 수는 왕복 4차로에서 10차로로 되어 있으며, 모든 구간이 콘크리트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4개의 광역시를 거친다. 또한 수도권 대도시, 지역 거점 도시들을 거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국토의 대동맥’등으로 부르기도 한다.[2]

고속도로의 번호가 개통 당시와 동일하게 1번인 이유는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고, 국가의 중요 도로이기 때문이다.

역사

편집

구간별 개통일

편집
구간연장(km)연도개통일
오산~수원13.81968년12월 30일
수원~서울22.412월 21일
대전~천안67.01969년12월 10일
천안~오산38.19월 2일
부산~대구12312월 29일
대구~대전152.01970년7월 7일

구성

편집
차로수
구간차선
양재 나들목 ~ 판교 나들목왕복 10차로
판교 나들목 ~ 서울 톨게이트왕복 12차로
서울 요금소 ~ 기흥 나들목왕복 8차로
기흥 나들목 ~ 오산 나들목왕복 10차로
오산 나들목 ~ 목천 나들목왕복 8차로
목천 나들목 ~ 남이 분기점왕복 6차로
남이 분기점 ~ 청주 분기점왕복 10차로
청주 분기점 ~ 회덕 분기점왕복 8차로
회덕 분기점 ~ 삼양터널왕복 6차로
삼양터널 ~ 영동1터널(영동)왕복 4차로
영동1터널(영동) ~ 김천 분기점왕복 6차로
김천 분기점 ~ 경산 나들목왕복 8차로
경산 나들목 ~ 양산 나들목왕복 6차로
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왕복 8차로
양산 분기점 ~ 부산기점왕복 6차로
총 연장
  • 416.1km
제한속도
구간속도
구서 나들목 ~ 천안 나들목최고 100km/h, 최저 50km/h
천안 나들목 ~ 양재 나들목최고 110km/h, 최저 50km/h

터널

편집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경주터널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 서면
152m1969년서울 방면(1)
138m서울 방면(2)
185m2018년부산 방면
황간터널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 황간면
624m2006년서울 방면
615m부산 방면
영동3터널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484m2015년서울 방면
587m부산 방면
영동2터널584m2015년서울 방면
654m부산 방면
영동1터널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 심천면
578m2003년서울 방면
618m부산 방면
옥천4터널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873m2003년서울 방면
868m부산 방면
옥천3터널1,593m2003년서울 방면
1,613m부산 방면
옥천2터널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212m2003년서울 방면
210m부산 방면
옥천1터널690m2003년서울 방면
681m부산 방면
삼양터널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361m2005년서울 방면
336m부산 방면
증약터널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
755m1999년
대전터널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
812m1999년서울 방면
796m부산 방면
경부동탄터널경기도 화성시 동탄동1,200m2023년서울 방면
2024년부산 방면

나들목 · 분기점

편집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번호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부산기점Busan-0.00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중앙대로)
금정로
부산광역시금정구서울방향 기준으로
부산시점에서 구서동 만남의 광장 간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의 통행제한이 시행되지 않음
(금정문화회관, 동래여고에 진입하는 경우)
1구서Guseo0.600.60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
1-1영락Yeongnak금정도서관로[3]부산방향 진입과 서울방향 진출만 가능
영락공원 외에는 진출입 불가
TG부산 요금소Busan TG본선요금소
2노포Nopo4.485.08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중앙대로)
고분로·체육공원로399번길
서울방향 진입과 부산방향 진출만 가능
2-1노포 분기점Nopo JC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부산방향의 경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김해방향) 진출 불가능
서울방향의 경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부산방향) 진출 불가능
SA양산휴게소Yangsan SA경상남도양산시서울방향
3양산 분기점Yangsan JC7.7612.84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
4양산Yangsan5.1017.94국도 제35호선 (양산대로)
4-1
SA
통도사 하이패스
통도사휴게소
Tongdosa Hipass
Tongdosa SA
12.7630.70국도 제35호선 (양산대로)부산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부산방향 진입과 서울방향 진출만 가능
버스정류장 병행
통도사 나들목 부지
5통도사Tongdosa1.3532.05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울산광역시울주군
5-1서울주 분기점W.Ulju JC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
6서울산W.Ulsan6.4338.48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
7언양 분기점Eonyang JC1.6340.1116호선 울산고속도로
(65호선 동해고속도로)
범서방향 진출시 동해고속도로 간접 연결
SA언양휴게소Eonyang SA서울방향[4]
8활천Hwalcheon17.1957.30활천내와로
(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
SA경주휴게소Gyeongju SA경상북도경주시부산방향
9경주Gyeongju10.9668.26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서라벌대로)
SA건천휴게소Geoncheon SA75.9양방향
10건천Geoncheon10.4078.66국도 제20호선 (건포산업로·단석로)
10-1영천 분기점Yeongcheon JC90.7301호선 영천상주고속도로영천시부산방향의 경우 영천상주고속도로(상주방향) 진출 불가능
11영천Yeongcheon17.7396.39영천아이시로
(국도 제4호선 (대경로))
(국도 제35호선 (대경로))
SA평사휴게소Pyeongsa SA105.7경산시부산방향
SA경산휴게소Gyeongsan SA110.8서울방향
12경산Gyeongsan16.45112.84지방도 제919호선 (대학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다문로·대학로))
13동대구 분기점E.Daegu JC9.27122.1155호선 중앙고속도로
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광역시동구상매 분기점과 연계
부산방향의 경우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진출 불가능
14도동 분기점Dodong JC4.08126.1920호선 새만금포항고속도로새만금포항고속도로 팔공산 나들목과 연계
16북대구N.Daegu7.68133.87대구광역시도 제12호선 (서변남로)북구
17금호 분기점Geumho JC5.48139.3555호선 중앙고속도로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17-1칠곡 분기점Chilgok JC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경상북도칠곡군
18칠곡물류Chilgok Logistics Term.10.74150.09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금호로
19왜관Waegwan3.18153.27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칠곡대로·호국로)
SA칠곡휴게소Chilgok SA양방향
20남구미S.Gumi13.98167.25낙동강변로
(국도 제33호선 (강변서로))
구미시구 낙동 나들목
21구미Gumi5.07172.32지방도 제514호선 (구미대로·구미중앙로)
21-1북구미North Gumi6.96179.28송선로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22김천 분기점Gimcheon JC3.90183.18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김천시
22-1동김천E.Gimcheon8.82192.00국도 제3호선 (김천순환로)
(국도 제59호선 (김선로·환경로))
SA김천휴게소Gimcheon SA양방향
23김천Gimcheon8.27200.27지방도 제514호선 (영남대로)
(국도 제4호선 (영남대로·송설로))
24
SA
추풍령
추풍령휴게소
Chupungnyeong
Chupungnyeong SA
12.05212.32봉산로
(국도 제4호선 (영남대로))
양방향
25황간Hwanggan10.06222.38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영동황간로)충청북도영동군
SA황간휴게소Hwanggan SA양방향
26영동Yeongdong9.89232.27국도 제19호선 (남부로)
지방도 제514호선 (남부로·용산로)
27
SA
금강
금강휴게소
Geumgang
Geumgang SA
16.04248.31금강로옥천군양방향
회차 가능
SA옥천휴게소Okcheon SA양방향
28옥천Okcheon11.40259.71동부로·중앙로
29비룡 분기점Biryong JC8.67268.38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
300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동구
30대전Daejeon3.56271.94동서대로대덕구
31회덕 분기점Hoedeok JC5.95277.89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
SA신탄진휴게소Sintanjin SA서울방향
32신탄진Sintanjin4.08281.97덕암로
신탄진로681번길
(국도 제17호선 (신탄진로))
SA죽암휴게소Jugam SA충청북도청주시양방향
33남청주S.Cheongju11.08293.05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연청로)
(국도 제17호선 (청남로))
구 청원 나들목
34청주 분기점Cheongju JC3.50296.55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구 청원 분기점
35남이 분기점Nami JC3.94300.4935호선 중부고속도로부산방향의 경우 중부고속도로(하남방향) 진출 불가능
36청주Cheongju4.62305.11국도 제36호선 (가로수로)
SA
36-1
옥산휴게소
옥산
Oksan SA
Oksan
3.61308.72지방도 제508호선 (오송가락로)부산방향[5]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36-2옥산 분기점Oksan JC8.88317.60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SA청주휴게소[6]Cheongju SA서울방향
SA천안호두휴게소Cheonan Hodo SA충청남도천안시부산방향[7]
37목천Mokcheon12.31329.91삼방로·충절로
38천안 분기점Cheonan JC3.53333.44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SA천안삼거리휴게소Cheonan-Samgeori SA서울방향
39천안Cheonan6.70340.14국도 제1호선 (삼성대로·만남로)
국도 제23호선 (만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만남로·망향로)
제한속도 110km/h 시점
SA망향휴게소Manghyang SA부산방향
39-1북천안N.Cheonan8.36348.50국도 제34호선 (삼사로)
SA입장거봉포도휴게소Ipjang Geobong Podo SA서울방향[8]
40안성Anseong11.61360.11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경기도안성시구 안성평택 나들목
SA안성휴게소Anseong SA부산방향
41안성 분기점Anseong JC4.83364.94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SA안성휴게소Anseong SA서울방향
41-1남사진위Namsa-Jinwi용구대로용인시
42오산Osan13.27378.21동부대로·원동로
(국도 제1호선 (경기대로))
(지방도 제310호선 (경기대로))
오산시
42-1동탄 분기점Dongtan JC3.89382.10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화성시부산방향의 경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양평방향) 진출 불가능
43기흥동탄Giheung-Dongtan4.39386.49지방도 제318호선 (삼성2로)
삼성로
동탄중앙로
구 기흥 이설 나들목
기흥Giheung0.70387.19지방도 제318호선 (삼성2로)
(지방도 제317호선 (동탄기흥로))
용인시서울방향 진입과 부산방향 진출만 가능
SA기흥휴게소Giheung SA부산방향
44수원신갈Suwon-Singal5.09392.28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부대로)
신수로
구 수원 나들목
진출입 요금소 분리
45신갈 분기점Singal JC2.68394.9650호선 영동고속도로
SA죽전휴게소Jukjeon SA서울방향
TG서울 요금소Seoul TG성남시본선요금소
47판교Pangyo11.98406.94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서현로)
서울방향 진입, 부산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서울방향 진입 시 판교 분기점과 연계
48판교 분기점Pangyo JC1.10408.04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부산방향의 경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진출 불가능
대왕판교Daewang-Pangyo0.28408.32달래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
서울방향 진입과 부산방향 진출만 가능, 진출입 시 요금 지불
구 판교 임시 나들목
48-1금토 분기점Geumto JC0.98409.30171호선 용인서울고속도로서울방향의 경우 용인서울고속도로(용인방향) 진출 불가능
SA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Seoul Underground Rendezvous SA서울특별시서초구부산방향
서울 요금소 부지
49양재Yangjae6.75416.05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경부간선도로(구 경부고속도로)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강남대로·헌릉로)
양재대로12길[9]
서울종점
경부간선도로(구 경부고속도로) 직결

주요 통과지

편집
경부고속도로 성남시-용인시 경계 일대의 풍경
부산광역시
  • 금정구 (구서동 - 선동 - 두구동 - 노포동)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 동구 (숙천동 - 사복동 - 대림동 - 괴전동 - 동내동 - 괴전동 - 신서동 - 각산동 - 율암동 - 신평동 - 부동 - 방촌동 - 둔산동 - 검사동 - 도동 - 봉무동 - 불로동) - 북구 (검단동 - 산격동 - 서변동 - 조야동 - 노곡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 동구 (신상동 - 세천동 - 신상동 - 비룡동) - 대덕구 (비래동 - 송촌동 - 법동 - 읍내동 - 연축동 - 신대동 - 와동 - 산서동 - 덕암동 - 목상동 - 석봉동)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 서초구 (신원동 - 원지동 - 양재동)

교통량

편집

2009년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0].

구간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24시간
구서 ~ 언양40.043,93458,852
언양 ~ 동대구82.230,84242,905
동대구 ~ 금호17.380,110118,495
금호 ~ 김천43.955,55286,345
김천 ~ 회덕94.822,94936,376
회덕 ~ 남이22.669,491103,187
남이 ~ 천안32.955,36279,993
천안 ~ 안성31.591,418126,835
안성 ~ 신갈30.098,519138,298
신갈 ~ 양재21.0115,567175,044

최고 통행량 지점은 수원신갈 나들목부터 신갈 분기점까지의 2.5km 구간으로, 24시간에 189,828대 (10개 차로, 차로당으로 환산하면 18,983대/차로)가 통과한다. 차로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신갈 분기점부터 판교 분기점까지 13.0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로당 23,038대 ((판교에서 서울 요금소까지는 서울 방향 5차로, 부산 방향 8차로, 이후 구간은 왕복 10차로), 총 184,310대)가 통과한다.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 중의 하나지만, 대체 도로 등이 계속 개통되면서 2005년부터는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구간 과속 단속

편집

사진

편집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편집
자동차 전용도로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노선)

06
경부고속도로
경부간선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2002년 12월 5일 고속국도 제1호선 지정 해제
총연장6.86 km
개통년1968년
기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양재대로
남부순환로
사평대로
신반포로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과거 양재 나들목 ~ 한남대교 구간은 경부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으나, 2002년에 이 구간의 관리권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서울특별시로 이양되면서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어 일반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었다. 때문에 이 구간은 고속국도법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현재는 양재 나들목이 고속국도 제1호선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다. 그러나 도로명 주소상 정식 도로명은 여전히 경부고속도로이며, 교통방송 등에서는 아직도 경부고속도로라고 하거나 혹은 “시구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이어지는 만큼 이 구간도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편,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기 직전인 2002년 11월 25일자로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2006년 1월 26일에 이 구간은 경부고속도로라는 이름과 함께 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경부간선도로로 지정되었다.[13]

아래 표에서, 구간 거리는 2002년 도로현황조서를 바탕으로 하였다.

종류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고속도로 직결
IC양재Yangjae-0.00경부고속도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양재대로12길
헌릉로
서울특별시서초구
IC서초Seocho2.562.56남부순환로한남방향 진입로 폐쇄
IC반포Banpo2.284.84사평대로양재방향 진입과 한남방향 진출만 가능
IC잠원Jamwon0.745.58신반포로한남방향 진출입로 없음
JC한남대교 분기점Hannamdaegyo Br.1.286.86한남대교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압구정로·잠원로
강남구본래는 잠원 나들목의 일부
강남대로 직결

통과하는 지역

편집

제한 속도

편집
  • 전 구간 : 최고 80km/h, 최저 50km/h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

편집
구 경부고속도로 대전육교

1990년대 대대적으로 착공된 경부고속도로 대전 ~ 대구 구간의 선형 개량 및 일부 확장 공사로 인해 대전 ~ 영동 구간에는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들이 많이 남아있으며, 대전광역시옥천군 구간에 있는 도로들은 일반도로로 활용 중이다. 구 경부고속도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부산 시점에서 구서 나들목까지는 AH1 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를 거쳐 일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 경부고속도로, 불혹 맞이한 국토대동맥, 2010년 7월 7일 연합뉴스
  3. 금정도서관로와는 영락공원에서 폐쇄되어 이용이 불가능하다. 단, 공무·작업·비상 차량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
  4. 부산방향 휴게소는 2011년 8월 25일에 폐쇄되었고, 그 휴게소를 대체하기 위해 통도사휴게소가 기존의 통도사 나들목 부지에 신설되었다. “경부고속도 언양휴게소 25일 폐쇄”. 뉴시스. 2011년 8월 23일. 
  5. 서울방향 휴게소는 2005년 11월 4일에 철거되었다. “경부고속道 옥산휴게소 폐쇄 (서울방향…낡고 좁아 건립 24년만에)”. 중부매일. 2005년 10월 27일. 
  6. 옛 이름은 청원휴게소이다.
  7. 옛 이름은 천안휴게소이다.
  8. 옛 이름은 입장휴게소이다.
  9. 단, 서울방향 진출만 가능하다.
  10. 2009년 통계 연보 PDF, 95-97 페이지,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Archived 2014년 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0년 8월 21일 읽어봄.
  11.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구간단속카메라 설치 운영 아시아뉴스통신 2014년 2월 9일
  12.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17일부터 구간단속 KBS뉴스 2014년 2월 9일
  13. “특별시도 노선 인정 현황”. 2014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