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포역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철도역 중하나

구포역(Gupo station, 龜浦驛)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위치해 있는 경부선철도역이다. 또한 구포역은 기존선 경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가 모두 정차한다. 그리고 구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환승은 되지 않으나,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역 건물 왼쪽의 육교를 넘어가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역까지 걸어서 쉽게 갈 수 있도록 곳곳에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포역은 국군수송사령부예하 TMO가 설치되어있는 역이다.[1]

구포
구포역의 전면.
구포역의 전면.
구포역의 승강장.
구포역의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구포관리역
소재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
좌표 북위 35° 12′ 16.60″ 동경 128° 59′ 47.61″ / 북위 35.2046111° 동경 128.9965583°  / 35.2046111; 128.9965583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종별 관리역
등급 2급
승강장수 2면 5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부선
서울 기점 425.2 km
화명
(3.4 km)
사상
(5.1 km)

부산광역시 북구의 전통적 중심지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관리역이지만 역사의 규모는 많은 수요에 비해 심하게 노후화되고 규모도 작다.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승강장은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승강장

편집
화명
| | | | |
사상
1경부선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사용하지 않음
2목포 · 진주 · 동대구 · 대전 · 서울 방면
3부전 · 부산 방면
4사용하지 않음

역 주변

편집
구포역 앞 육교. 낙동대로와 교차한다. 낙동대로 1700번지 부근이다.

승차량 변동

편집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으로 KTX 정차 횟수가 크게 줄어들었으나, 부산 시내에서는 부산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연도와 승하차방향이용 인원[2]
경부선
KTX새마을무궁화통일총계
2001년하행승차미개통48061,19912,58179,452
하차296,9881,205,80065,2111,645,161
상행승차311,6791,469,70263,1761,922,233
하차83266,51197,385170,032
2002년하행승차34041,6328,35455,590
하차310,4981,103,47957,2381,536,195
상행승차329,3881,320,34456,4341,774,198
하차1,92150,69768,861126,763
2003년하행승차27730,5081,42534,533
하차319,1061,101,50248,2871,528,338
상행승차347,6961,290,30055,3681,755,305
하차76034,8274,16642,261
2004년하행승차11758301974133922085
하차384,461277,089977,19714,7011,653,448
상행승차404,775328,1051,055,70713,5451,802,132
하차3541,72222,27670325,055
2005년하행승차3,3821,06516,5195021,016
하차851,799205,490946,3374,3612,007,987
상행승차860,774267,977944,7126,3742,079,837
하차1,2471,36818,8438521,543

인접한 역

편집
경부선
물금
행신 방면
KTX
경부선 구포 경유
부산
부산 방면
물금
서울 방면
ITX-새마을
경부선
부산
부산 방면
물금
서울 방면
ITX-마음
경부선
부산
부산 방면
밀양
동대구 방면
누리로
경부선
부산
부산 방면
화명
서울 방면
무궁화호
경부선
부산
부산 방면
화명
목포 방면
무궁화호
경전선
사상
부전 방면
물금
광주송정 방면
남도해양열차부산
부산 방면
경부선·동해선
밀양
서울 방면
ITX-새마을
동해선
부전
신해운대 방면

사건 및 사고

편집

1993년 3월 28일, 이 역 인근에서 무인가 발파 작업으로 인한 선로 노반의 침하로 78명의 사망자와 198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단, 출퇴근형식의 TMO이므로 일부시간만 운영한다.
  2.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