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2007년 12월 19일 수요일에 실시되어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총 12시간 동안 투표가 진행되었다. 3765만 3518명의 유권자 중 2373만 285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투표율은 63.0%로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투표 결과 기업인 출신이며 민선 3기 서울시장 출신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었고 10년만에 보수정당이 정권교체를 하였다.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 2002년
2007년 12월 19일
2012년 →

투표율63.0%(감소 7.8%p)
 
후보이명박정동영
정당한나라당대통합민주신당
득표수11,492,3896,174,681
득표율48.67%26.14%

 
후보이회창문국현
정당무소속창조한국당
득표수3,559,9631,375,498
득표율15.07%5.82%

시·도별 우세지역
이명박
정동영

선거전 대통령

노무현
무소속

대통령 당선자

이명박
한나라당

선거 정보

편집

선거 일정

편집

1987년 10월 29일 개정된 헌법 제68조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는 임기만료일(2월 24일 24시) 70일 전부터 40일 이전에 실시해야 한다. 1998년 개정된 공직선거법에는 임기만료일 70일 전의 첫 번째 수요일로 규정되어 있다.

선거권과 피선거권

편집

선거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인 대한민국 국민(선거일의 24시에 만 19세가 되는 1988년 12월 20일 출생자를 포함한다)은 공직선거법의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선거권이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67조에 따라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1967년 12월 20일 출생자를 포함한다)은 공직선거법의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피선거권이 있다.

후보

편집

대통합민주신당

편집

대통합민주신당은 9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국민 참여 경선을 실시하고 최다 득표자인 정동영열린우리당 의장을 대선 후보로 선출하였다.

한나라당

편집

한나라당8월 19일 여론조사 및 국민 참여 선거인단 투표를 시행한 결과 최다 득표를 한 이명박현대건설 사장, 서울특별시장을 대선 후보로 확정하였다.

이회창 무소속 후보

편집

이회창한나라당 총재는 11월 7일 한나라당 탈당 및 무소속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다.[1]

민주노동당

편집

민주노동당은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당원들의 투표로 경선을 진행한 결과 권영길 전 당 대표를 대선 후보로 선출하였다.

민주당

편집

민주당은 9월 20일부터 10월 16일까지 국민 참여 경선을 시행한 결과 압도적으로 승리한 이인제 의원을 대선 후보로 확정하였다.

창조한국당

편집

창조한국당은 11월 4일 전당대회를 열고 11월 1일부터 11월 2일까지 당원 및 일반 국민을 상대로 실시된 모바일 찬반 투표에서 총 투표자 수 8,352명 중 94.5%인 8,884명의 지지를 얻은 문국현유한킴벌리 대표를 대선 후보로 지명하였다.[2]

군소 후보

편집

한국사회당

편집

한국사회당은 8월 20일부터 8월 26일까지 진성 당원 찬반 투표를 실시하고 금민 당 대표를 후보로 선출하였다.[3]

참주인연합

편집

참주인연합9월 28일 창당대회를 열고 정근모과학기술처 장관을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정근모 후보는 대선 전날인 12월 18일 저녁 이회창 무소속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선거를 포기하였다. 다만 시간이 없던 관계로 정식 사퇴서는 접수치 않았다.[4]

국민중심당

편집

중심당10월 10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심대평 당 대표를 후보로 선출하였으나, 심대평 후보는 12월 3일 이회창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선언하고 6일 공식적으로 후보직을 사퇴했다.[5] 중심당은 대선 이후 이회창 후보가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자 여기에 흡수 합당되었다.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

편집

국민연대는 11월 14일 창당대회를 열고 이수성 전 총리를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이수성 후보는 12월 13일 사퇴를 선언했다. 이수성 전 총리는 특정 후보 지지를 거부했으나, 사실상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6]

경제공화당

편집

경제공화당에서는 당초 열린우리당의 대선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던 허경영이 후보로 나왔다.

새시대참사람연합

편집

새시대참사람연합에서는 전관 당 총재가 후보로 출마했다.

국민선택

편집

국민선택은 2007년 11월 11일 창당대회를 열고 장성민 전 의원을 대선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장성민 전 의원은 대선 후보 등록을 하지 않았다.[7]

사건 사고

편집

이명박 후보는 BBK 주가 조작 논란에 휘말려 선거전 내내 진땜을 뺐다. 11월 16일에는 BBK 논란의 핵심인물 김경준이 귀국하였으며, 12월 5일에는 검찰이명박 후보의 BBK 주가조작 연루 의혹 수사 결과에 대해 옵셔널벤처스 주가조작, BBK 실소유주, ㈜다스 실소유주 의혹 모두 '무혐의'라고 발표했다.[8]

대선 기간 중 이명박 후보의 집에 괴한이 권총을 들고 찾아와 협박을 했다. 괴한은 경호원들에 의해 붙잡혔으나, 이명박은 이 괴한을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 돌려보냈다.

토론회

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12월 6일 정치·통일·외교·안보 분야 토론회, 12월 11일 사회·교육·여성·문화 분야 토론회, 12월 16일 경제·노동·복지·과학 분야 토론회 등 총 세 번의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토론회에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이회창 무소속 후보,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 이인제 민주당 후보 등 6명이 참가하였다.

선관위는 또한 정근모 참주인연합 후보, 허경영 경제공화당 후보, 전관 새시대참사람연합 후보, 금민 한국사회당 후보 등 군소 후보들을 위해 12월 13일 비초청 후보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여론 조사

편집

12월 13일부터는 대선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었다.

초기 여론조사

편집
날짜이명박박근혜손학규정동영이해찬문국현권영길이인제비고
5월 16일[* 1] 48.9 22.4 4.6 2.5
5월 26일[* 2] 47.3 23.4 6.6 3.1
6월 9일[* 3] 41.3 24.9 6.1 1.9
6월 21일[* 4] 37.8 26.1 6.5 1.8
7월 1일[* 5] 39.4 27.6 5.3 2.4
7월 14일[* 6] 40.0 25.8 7.3 3.3
7월 21일[* 7] 37.2 27.6 6.7 2.0
9월 20일[* 8] 50.6 4.8 8.5 3.3한나라당 후보선출
10월 6일[* 9] 53.3 6.3 10.5 3.7 5.5
10월 10일[* 10] 58.0 7.5 11.4 4.6 4.6
10월 16일[* 11] 51.9 20.2 8.7 3.6 3.3신당 및 민주당 후보선출

정당 후보 선출 이후 여론조사

날짜이명박이회창정동영문국현권영길이인제모름/무응답비고
10월 16일 51.9 20.2 8.7 3.6 3.3
11월 7일[* 12] 39.8 19.8 10.5 3.9 3.4 1.7 20.9이회창 출마 선언 직후
11월 18일[* 13] 36.8 17.1 13.2 6.6 2.3 1.2 22.9김경준 귀국 직후
11월 26일[* 14] 39.3 16.9 13.5 6.6 3.6 1.9 18.1후보 등록 마감
12월 7일[* 15] 40.4 16.6 16.2 8.0 5.6 1.3 11.8BBK 검찰 수사발표[8]
12월 12일[* 16] 45.4 13.6 17.5 6.7 3.9 0.9 11.8언론 발표 가능 마지막 여론조사
  1. 李, 소폭 상승(48.9%)- 朴, 변화 없어(22.4%)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문화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 5월 17일.
  2. 이 47%, 박 23%… 대선구도 8개월째 변화없어, 조선일보-한국리서치, 5월 28일.
  3. 이·박 충청서 박빙… 영·호남선 이(李)가 10~12%P 앞서, 조선일보-한국갤럽, 6월 11일.
  4. 李·朴 지지율差 11%P로 줄어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문화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 2007년 6월 17일.
  5. 이·박, 충청·영남서 접전… 수도권선 이 44·박 25%, 조선일보-한국갤럽, 2007년 7월 2일.
  6. 이·박 격차, 남성에선 22%P… 여성에선 6.7%P Archived 2007년 7월 17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한국리서치, 2007년 7월 16일.
  7. 이명박 37.2% 박근혜 27.6%, 조선일보-한국갤럽, 2007년 7월 23일.
  8. 정동영, 손학규 제치고 2위로 껑충 Archived 2007년 9월 25일 - 웨이백 머신, 중앙일보-미디어다음·리서치앤리서치, 2007년 9월 20일.
  9. 李 53.3% 鄭 10.5% 孫 6.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2007년 10월 6일.
  10. 정동영-손학규 0.9%P차 대혼전 Archived 2007년 10월 13일 - 웨이백 머신, 한겨레신문, 2007년 10월 12일.
  11. 정동영 후보 지지율 20%대 첫 진입 Archived 2016년 4월 10일 - 웨이백 머신, CBS와 리얼미터, 2007년 10월 16일.
  12. 李 39.8% 昌 19.8% 鄭 10.5% 지지받아 Archived 2011년 11월 23일 - 웨이백 머신, 한국지방신문협회와 리서치앤리서치, 2007년 11월 8일.
  13. 이명박, 1주일새 고학력층·서울서 10~7%p 이탈 Archived 2007년 11월 20일 - 웨이백 머신, 리서치플러스, 2007년 11월 17일.
  14. ‘1강 2중’ 구도 유지, KBS, 2007년 11월 26일.
  15. 이명박 40.4%, 이회창·정동영 박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YTN-한국리서치, 2007년 12월 6일 실시.
  16. 세대·이념·지역구도 약화, 조선일보-한국갤럽, 2007년 12월 12일 실시.

그래프

편집

선거 결과

편집







후보자별 득표율

  이명박(48.67%)
  정동영(26.14%)
  이회창(15.07%)
  문국현(5.82%)
  기타 후보(4.30%)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37,653,518명
투표율: 63.0%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11,492,389표
48.67%
당선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6,174,681표
26.14%
이회창무소속3,559,963표
15.07%
문국현창조한국당1,375,498표
5.82%
권영길민주노동당712,121표
3.01%
이인제민주당160,708표
0.68%
허경영경제공화당96,756표
0.40%
금민한국사회당18,223표
0.07%
정근모참주인연합15,380표
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7,161표
0.03%
심대평국민중심당-사퇴
이수성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사퇴
합계23,732,854표무효표: 119,974표

지역별 결과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8,051,696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2,689,162표
53.2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237,812표
24.50%
이회창무소속596,226표
11.80%
문국현창조한국당358,781표
7.10%
권영길민주노동당116,344표
2.30%
이인제민주당23,214표
0.45%
허경영경제공화당22,405표
0.44%
금민한국사회당3,501표
0.06%
정근모참주인연합3,013표
0.05%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911표
0.01%
합계5,051,369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2,843,063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1,018,715표
57.90%
이회창무소속346,319표
19.68%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236,708표
13.45%
문국현창조한국당94,285표
5.35%
권영길민주노동당48,901표
2.77%
허경영경제공화당7,351표
0.41%
이인제민주당4,599표
0.26%
금민한국사회당1,198표
0.06%
정근모참주인연합770표
0.04%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406표
0.02%
합계1,759,252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896,866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876,719표
69.37%
이회창무소속228,199표
18.05%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5,932표
6.00%
문국현창조한국당50,514표
3.99%
권영길민주노동당25,777표
2.03%
허경영경제공화당3,375표
0.26%
이인제민주당1,847표
0.14%
금민한국사회당727표
0.05%
정근모참주인연합367표
0.02%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221표
0.01%
합계1,263,678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2,005,874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593,283표
49.2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286,565표
23.77%
이회창무소속183,057표
15.18%
문국현창조한국당84,814표
7.03%
권영길민주노동당42,069표
3.49%
이인제민주당7,612표
0.63%
허경영경제공화당5,769표
0.47%
금민한국사회당1,068표
0.08%
정근모참주인연합797표
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323표
0.02%
합계1,205,357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031,333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527,588표
79.75%
이명박한나라당56,875표
8.59%
문국현창조한국당31,524표
4.76%
이회창무소속22,520표
3.40%
권영길민주노동당13,597표
2.05%
이인제민주당7,118표
1.07%
허경영경제공화당1,547표
0.23%
정근모참주인연합398표
0.06%
금민한국사회당289표
0.04%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96표
0.01%
합계661,552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098,977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246,008표
36.28%
이회창무소속195,957표
28.90%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59,700표
23.55%
문국현창조한국당48,143표
7.10%
권영길민주노동당17,207표
2.53%
이인제민주당7,223표
1.06%
허경영경제공화당2,356표
0.34%
금민한국사회당683표
0.10%
정근모참주인연합467표
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204표
0.03%
합계677,948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806,423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279,891표
53.97%
이회창무소속90,905표
17.5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0,736표
13.64%
권영길민주노동당43,607표
8.40%
문국현창조한국당28,605표
5.51%
허경영경제공화당2,099표
0.40%
이인제민주당1,884표
0.36%
금민한국사회당467표
0.09%
정근모참주인연합271표
0.05%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121표
0.02%
합계518,586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8,222,124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2,603,443표
51.88%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181,936표
23.55%
이회창무소속670,742표
13.36%
문국현창조한국당354,492표
7.06%
권영길민주노동당144,830표
2.88%
이인제민주당30,513표
0.60%
허경영경제공화당23,554표
0.46%
정근모참주인연합3,378표
0.06%
금민한국사회당3,207표
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1,312표
0.02%
합계5,017,407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164,655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376,004표
51.96%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36,668표
18.88%
이회창무소속127,102표
17.56%
문국현창조한국당42,552표
5.88%
권영길민주노동당28,129표
3.88%
이인제민주당6,085표
0.84%
허경영경제공화당5,063표
0.69%
금민한국사회당849표
0.11%
정근모참주인연합615표
0.08%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436표
0.06%
합계723,503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146,102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289,499표
41.58%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65,637표
23.79%
이회창무소속162,750표
23.38%
문국현창조한국당39,884표
5.72%
권영길민주노동당25,285표
3.63%
이인제민주당7,965표
1.14%
허경영경제공화당3,435표
0.49%
금민한국사회당759표
0.10%
정근모참주인연합561표
0.08%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321표
0.04%
합계696,096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532,751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313,693표
34.26%
이회창무소속304,259표
33.23%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92,999표
21.08%
문국현창조한국당43,383표
4.73%
권영길민주노동당32,132표
3.50%
이인제민주당22,592표
2.46%
허경영경제공화당3,814표
0.41%
금민한국사회당1,131표
0.12%
정근모참주인연합934표
0.10%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568표
0.06%
합계915,505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425,056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77,236표
81.60%
이명박한나라당86,149표
9.04%
이회창무소속34,630표
3.63%
문국현창조한국당26,573표
2.78%
권영길민주노동당18,139표
1.90%
이인제민주당6,550표
0.68%
허경영경제공화당1,777표
0.18%
정근모참주인연합590표
0.06%
금민한국사회당538표
0.05%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270표
0.02%
합계952,452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1,500,831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757,309표
78.65%
이명박한나라당88,834표
9.22%
이회창무소속34,790표
3.61%
문국현창조한국당31,289표
3.24%
권영길민주노동당23,178표
2.40%
이인제민주당23,074표
2.39%
허경영경제공화당2,179표
0.22%
정근모참주인연합938표
0.09%
금민한국사회당743표
0.07%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517표
0.05%
합계962,851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2,097,394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1,033,957표
72.58%
이회창무소속195,526표
13.72%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96,822표
6.79%
문국현창조한국당47,345표
3.32%
권영길민주노동당39,327표
2.76%
허경영경제공화당4,696표
0.32%
이인제민주당3,823표
0.26%
금민한국사회당1,458표
0.10%
정근모참주인연합819표
0.05%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699표
0.04%
합계1,424,472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2,416,351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843,662표
55.02%
이회창무소속329,486표
21.48%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189,463표
12.35%
권영길민주노동당82,645표
5.38%
문국현창조한국당73,893표
4.81%
허경영경제공화당6,063표
0.39%
이인제민주당4,935표
0.32%
정근모참주인연합1,310표
0.08%
금민한국사회당1,261표
0.08%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612표
0.03%
합계1,533,330표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수: 414,022명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이명박한나라당96,495표
38.67%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81,570표
32.69%
이회창무소속37,495표
15.02%
문국현창조한국당19,421표
7.78%
권영길민주노동당10,954표
4.38%
이인제민주당1,674표
0.67%
허경영경제공화당1,273표
0.51%
금민한국사회당344표
0.13%
정근모참주인연합152표
0.06%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144표
0.05%
합계249,522표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대선 출마 선언”.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2. “문국현 “4년 중임제-중대선구제 개헌 추진””. 2020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7일에 확인함. 
  3. “[금민] ‘새 진보’ 여기 있소이다 : 사람이야기 : 인터뷰 : 한겨레21”.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4. “정근모 후보 전격 사퇴.. 이회창 지지선언”. 2007년 12월 18일.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김남권 (2007년 12월 6일). “심대평, 대선후보 공식 사퇴”.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6. “보관된 사본”.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7. 노효동 (2007년 11월 11일). “`국민선택' 창당..장성민 대선후보 지명”. 201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31일에 확인함. 
  8. 검찰, 이명박 후보 관련 의혹 모두 무혐의 Archived 2011년 11월 23일 - 웨이백 머신, YTN, 2007년 12월 5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