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18대 총선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2008년 5월 30일부터 4년 임기의 제18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이다. 선거는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의 허니문 기간이자 집권 2개월 차인 2008년 4월 9일 수요일에 치러졌다. 선거 결과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이 과반을 차지했으며 제1야당 통합민주당은 참패했다.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2004년
2008년 4월 9일
국회의원 목록
2012년 →

선출의석: 299석
과반의석: 150석
투표율46.1%(감소 14.5%p)
 제1당제2당제3당
 
지도자강재섭
대표최고위원
손학규(사진)·박상천
공동대표
이회창
총재
정당한나라당통합민주당자유선진당
지도자 취임2006년
7월 11일
2008년
2월 17일
2008년
2월 1일
지도자 선거구불출마서울 종로구 (손학규, 낙선)
전남 고흥군·보성군 (박상천)
충남 홍성군·예산군
이전 선거 결과121석161석[1]신생 정당
선거 전 의석수112석136석9석
선거 후 의석수153석81석18석
의석 증감증가 41감소 55증가 9
득표수6,421,7274,313,6451,173,463
득표율37.48%25.17%6.84%
득표율 증감증가 1.72%p감소 20.18%p증가 6.84%p

 제4당제5당
 
지도자서청원
대표
천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정당친박연대민주노동당
지도자 취임2008년
3월
2008년
2월 19일
지도자 선거구비례대표 2번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10석
선거 전 의석수3석6석
선거 후 의석수14석5석
의석 증감증가 11감소 1
득표수2,258,750973,445
득표율13.18%5.68%
득표율 증감증가 13.18%p감소 7.35%p


정당별 의석 획득 수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친박연대 무소속

선거전 국회의장

임채정
통합민주당

국회의장 당선자

김형오
한나라당

주요일정

편집
날짜실시사항기준일
2007년 12월 11일(화)예비후보자 등록선거일전 120일부터
2008년 3월 21일(금) ~ 25일(화)선거인명부 작성,
부재자신고 및 부재자신고인명부 작성
선거일전 19일부터 5일이내
2008년 3월 25일(화) ~ 26일(수)후보자등록 신청 (오전9시 ~ 오후5시)선거일전 15일부터 2일간
2008년 4월 3일(목) ~ 4일(금)부재자투표소 투표선거일전 6일부터 2일간
2008년 4월 9일(수)투표 (오전6시 ~ 오후6시)선거일

2008년 1월 18일 제18대 총선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선거구획정위원은 학계, 법조계, 언론계, 시민단체 인사를 대상으로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이 각각 4명, 국회의장 2명, 중앙선관위가 1명을 추천했다. 11명의 위원은 다음과 같다. 박병섭(위원장, 상지대 부총장), 김만흠(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제성호(중앙대 법학과 교수), 김태봉(광주YMCA 원장), 민경식(변호사), 김당(오마이뉴스 정치부장), 이재호(동아일보 논설위원실장), 손혁재(참여연대 정책자문부위원장), 이종수(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상임집행위원장), 정강자(국가인권위 상임위원), 이훈상(한국선거협회 이사장)

2008년 2월 21일 국회 정치관계법 특위는 국회의원 지역구를 2곳 늘리고 비례대표를 2석 줄여 의원 정수를 현행대로 299명으로 유지하는 선거구 획정안을 확정했다.

변경되는 지역구로는 경기 용인시 갑·을 선거구가 용인시 기흥구·수지구·처인구 선거구로, 경기 화성시 선거구가 화성시 갑·을 선거구로, 광주 광산구 선거구가 광산구 갑·을 선거구로 분구되고, 전남 광양시 등 13개 시·군의 6개 선거구가 함평군·영광군·장성군 선거구, 담양군·곡성군·구례군 선거구, 광양시 선거구, 해남군·진도군·완도군 선거구, 장흥군·영암군·강진군 선거구의 5개 선거구로 조정된다.2006년 7월 1일에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시ㆍ북제주군갑/을,서귀포시ㆍ남제주군은 제주시갑,제주시을,서귀포시으로 선거구 명칭이 변경된다.

후보자 등록

편집

지역구 후보자를 낸 정당

기호정당
1통합민주당
2한나라당
3자유선진당
4민주노동당
5창조한국당



친박연대
구국참사람연합
국민실향안보당
기독당
직능연합당
진보신당
통일당
평화통일가정당

비례대표 후보자를 낸 정당

기호정당
1통합민주당
2한나라당
3자유선진당
4민주노동당
5창조한국당
6친박연대
7국민실향안보당
8기독당
9문화예술당
10시민당
11신미래당
12직능연합당
13진보신당
14평화통일가정당
15한국사회당
  • 지역구 후보 중 공통기호 정당(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이외의 정당 소속이거나 무소속인 후보는 기호 6번부터 배정되는데, 국회에 의석이 있는정당이 앞번호이고, 의석이 없는 정당인 경우 대상 후보자 중 정당에 소속된 후보자는 정당 이름 순서대로 앞번호를 배정하고, 그 다음 무소속 후보자를 후보자 성명 순서대로 배정한다.
공통기호 비대상 중 국회의원이 있는 정당은 친박연대 뿐이어서 친박연대는 출마 지역에서는 항상 기호6번이 되었다. (아닌 경우 다른정당이 기호 6번이 되었다.)
평화통일가정당은 전 지역에서 공천했기 때문에 무소속이 기호 6번인 선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선거 개요

편집

이번 18대 국회의원 선거는 총선 4개월 전에 치른 17대 대선에서 10년만에 보수세력의 정권교체를 하고 승리한 한나라당 이명박 정부의 출범 2개월 되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첫 평가전이자 국회의원 선거이다.

정당별 사정

편집

선거관리위원회는 2008년 3월 26일 전체회의에서 통합민주당이 1번, 한나라당 2번, 자유선진당 3번, 민주노동당 4번, 창조한국당 5번 순으로 18대 총선에서 사용하게 될 공통기호를 부여하였다. 6번부터는 친박연대, 구국참사람연합, 국민실향안보당, 기독당, 직능연합당, 진보신당, 통일당, 평화통일가정당, 무소속 순으로 순차적으로 부여한다.

  • 기호 5번은 3석을 가진 친박연대가 아니라 1석을 가진 창조한국당이 받았는데,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 문국현이 출마하여 약 5.8%의 득표를 한 창조한국당이 직전 선거에서 3% 이상 득표한 경우에 해당되어 공통기호 우선 배정 대상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직전 선거에서 3% 이상 득표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지역구 의석이 5석 이상 있다면 공통기호를 우선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었으나 후보 등록 마감 시점까지 친박연대에서 현역 의원의 추가 영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5번이 아닌 6번을 받게 되었다.

통합민주당

편집

통합민주당은 총 245개 선거구 중 197곳의 공천을 마무리했다. 지역별로 서울, 광주광역시, 대전, 강원, 전북, 전남, 제주의 선거구에만 전수 공천하였다. 서울에서 48석 가운데 겨우 7석만 차지했는데, 이는 1996년 15대 총선 이후 민주당계 정당에 있어서 최악의 대참패로 기록된다. 특히 한나라당의 서울 뉴타운 정책으로 인해 기존 텃밭이던 서울 강북권에서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

그나마 충청권에서 당시 세종시 바람을 타고 충북 6석을 차지하며 1당이 되었고, 대전 1석, 충남 1석, 강원, 영남권에서 각 2석을 차지했으며, 제주도를 모두 석권한 것이 위안 아닌 위안이었다.

당초 개헌 저지선에 해당하는 100석으로 목표를 세웠는데 이에 19석 부족한 81석을 차지했다. 진보 성향의 무소속 의원을 영입해도 100석에 도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던 흑역사를 기록한 선거였다. 계파로도 친노, 김근태계 등 진보·개혁 인사들보다 손학규계, 김한길계 등 당내 중도·보수 인사들이 많이 당선되어 당시 MB 정부에 제대로 된 견제를 할 수 있겠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한나라당

편집

한나라당 공심위가 2008년 3월 16일 전국 지역구 공천 후보자들을 모두 확정지은 가운데 이번 공천에 지원한 현역 의원중 50명이 탈락하였다. 공천탈락 의원은 지역구에서 42명, 비례대표 의원이 8명을 차지했다. 현역 의원 128명중 50명이 교체되면서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현역의원 교체율은 39%로 나타나, 2004년 17대 총선의 현역 의원 교체율 36.4%, 2000년 16대 총선이 31%와 비교하면 가장 높은 교체율이다.

선거 결과, 과반을 약간 넘긴 153석을 얻어 여대야소 구도를 형성하며 승리했다. 전통적으로 약세를 보이던 수도권에서도 승리했고, 서울특별시에서는 무려 40석을 차지했는데 특히 MB 정부가 내건 수도권 뉴타운 열풍에 힘입어 열세 지역이던 강북권에서도 압승했다.

하지만, 민주당계의 지지율이 높은 호남제주도에서는 단 한 석도 얻지 못했으며, 충청도에서는 제천시·단양군송광호만 당선되었을 뿐 나머지 지역구는 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에게 내줘 속쓰린 지점이 되었다. 그래도 보수 성향의 무소속 의원을 영입해 이후 MB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탄력을 주려 했으나, 얼마 안가 터진 광우병 사태와 세계금융위기 영향으로 인한 뉴타운 공약 무더기 취소 등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된다.

자유선진당

편집

자유선진당은 충청지역정당이란 컨셉으로 국민중심당의 지지율이 높은 충청남도와 대전의 16개 지역구 중 13개 지역구(대전 5, 충남 8)에서 당선자를 배출했으며, 충남-대전 이외의 지역구에서 당선된 사람은 충북 보은·옥천·영동의 이용희가 유일하다. 정당 전체 득표는 6.9%의 지지를 얻어 4명의 비례대표가 당선되었다.

민주노동당

편집

민주노동당은 일심회 사건과 그 처리 등을 두고 일어난 갈등으로 당내 민중민주(PD) 세력들이 집단 탈당 후 진보신당을 세우면서 당의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었다. 그런 상태에서 치른 총선임에도 불구하고, 경남 사천에서 여론조사에서 항상 한나라당 이방호 후보에게 뒤지던 강기갑 후보가 180여표차의 극적인 승리를 거두고 권영길 후보가 지역구인 창원을 수성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민주노동당 텃밭으로 여겨지던 울산 지역 등에서는 모든 후보가 낙선하면서 총 2석을 챙겼다. 그리고 정당득표율에는 5.7%를 득표함으로써 비례대표의원 3명을 당선시켰다.

창조한국당

편집

창조한국당은 당 대표인 문국현 후보가 서울 은평을에서 한나라당 이재오 후보를 꺾고 52.0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지만, 서울 은평 을 이외 지역에서는 당선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정당 득표율은 3.8%로, 2명의 비례대표가 당선되었다.[2][3]

친박연대

편집

18대 총선 한나라당 후보 공천 과정에서 탈락한 친박 인사들이 MB 정권의 공천 학살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당시 친이계를 비판하고 집단 탈당하여 만든 신당이다. 허나 완전히 새로운 신당을 창당하기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대선 이후 방치되어 있던 미래한국당서청원, 홍사덕한나라당에서 탈당한 친박 정치인들이 대거 입당하였고, 이후 총선에서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당명을 친박연대로 변경하였다. 총선 결과, 미래 권력이던 박근혜에 대한 지지층이 결집해 13%의 정당지지를 얻고, 지역구에서도 TK 지역을 중심으로 몇석 획득하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진보신당

편집

진보신당은 당 공동대표였던 심상정, 노회찬 후보의 당선을 위해 전력투구했으나, 두 후보 모두 낙선하였으며[4] 나머지 지역구 역시 아무도 당선되지 못했다. 정당 비례대표에서도 의석 배분 기준 득표율인 3%에 약간 못 미치는 2.9%를 기록함으로써 국회의원 당선자 배출에 실패했다.

기타 정당

편집

평화통일가정당은 모든 지역구에 후보 공천을 하였으나,[5] 단 한석의 의석도 확보하지 못했다.

친박 무소속 연대

편집

한나라당 공천에 탈락한 친박계 의원 중 친박연대에 합류하지 않은 의원들은 김무성을 중심으로 무소속으로 출마하고 '친박 무소속 연대'를 구성하였다.[6] 선관위의 결정에 따라 '친박 무소속 연대'라는 표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표기하였다.[7][8] 친박연대와도 선거 연대를 하며 유세를 하였다.[9]

여론 조사

편집

선거 전 각종 미디어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한나라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확실시 되었고,[10] 집권 여당의 견제를 주장했던 통합민주당은 손학규 등 주요 인사들의 당선도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11]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들은 실제 선거에서도 고스란히 반영돼 손학규, 정동영, 김근태통합민주당의 지도부 주요 인사들은 선거에서 낙선하였다.

그러나 당초 한나라당의 비례대표 의석 확보가 30석 이상에 이를 것이라는 MBCKBS의 총선 당일 출구조사 결과와 달리, 예상을 뒤엎고 많은 비례대표 표가 친박연대로 옮겨가면서 22석에 그쳤다.

투표율

편집

제18대 총선은 궂은 날씨와[12] 젊은 유권자층의 투표에 대한 무관심[13] 등의 영향으로 대한민국 정규 총선거 뿐 아니라 대선과 지방선거를 포함한 역대 전국 동시 선거 가운데 역사상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14]

  • 전국 투표율 : 46.1% (17대 총선 60.6%)
  • 투표자 수 17,415,667명 / 유권자 수 37,796,035명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제18대45.8 %42.9 %45.1 %42.5 %42.4 %45.3 %45.8 %43.7 %51.5 %49.3 %48.2 %47.5 %50.0 %53.1 %48.3 %53.5 %
제17대62.2 %61.9 %59.3 %57.4 %60.2 %58.9 %62.0 %59.7 %59.7 %58.2 %56.0 %61.2 %63.4 %61.5 %62.3 %61.1 %

선거 결과

편집
5813251815314
민주노동당통합민주당창조한국당무소속자유선진당한나라당친박연대






정당별 의석 비율

  한나라당(51.1%)
  통합민주당(27.1%)
  자유선진당(6%)
  친박연대(4.7%)
  민주노동당(1.7%)
  창조한국당(1%)
  무소속(8.4%)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

  한나라당(37.48%)
  통합민주당(25.17%)
  친박연대(13.18%)
  자유선진당(6.84%)
  민주노동당(5.68%)
  창조한국당(3.80%)
  기타 정당(7.85%)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통합민주당 66 15 81
한나라당 131 22 153
자유선진당 14 4 18
민주노동당 2 3 5
창조한국당 1 2 3
친박연대 6 8 14
무소속 25 25
합계 245 54 299

지역별 지역구 의석 분포

편집
민주한나라자유선진민노창조한국친박연대무소속합 계
서울 7 40 1 48
부산 1 11 1 5 18
대구 8 3 1 12
인천 2 9 1 12
광주 7 1 8
대전 1 5 6
울산 5 1 6
경기 17 32 1 1 51
강원 2 3 3 8
충북 6 1 1 8
충남 1 8 1 10
전북 9 2 11
전남 9 3 12
경북 9 1 5 15
경남 1 13 2 1 17
제주 3 3
합계 66 131 14 21 7 25 245

지역구 득표 결과

편집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인비고
1통합민주당4,977,508 28.92%66
2한나라당7,487,776 43.45%131
3자유선진당984,751 5.72%14
4민주노동당583,665 3.39%2
5창조한국당72,8030.42%1



친박연대628,179 3.70%6
구국참사람연합513 0.003%등록취소
국민실향안보당1,130 0.01%등록취소
기독사랑실천당3,720 0.02%
직능연합당881 0.01%등록취소
진보신당229,500 1.33%
통일당51 0.0003%등록취소
평화통일가정당334,715 1.94%등록취소
무소속1,907,326 11.08%25
총합17,203,518245

비례대표 득표 결과

편집
전국 선거결과
정당득표득표율당선자수비고
한나라당6,421,727표
37.48%
22
통합민주당4,313,645표
25.17%
15
친박연대2,258,750표
13.18%
8
자유선진당1,173,463표
6.84%
4
민주노동당973,445표
5.68%
3
창조한국당651,993표
3.80%
2
진보신당504,466표
2.94%
0
기독사랑실천당443,775표
2.59%
0
평화통일가정당180,857표
1.05%
0
국민실향안보당93,554표
0.56%
0
한국사회당35,496표
0.20%
0
한국문화예술당33,966표
0.19%
0
시민당17,656표
0.10%
0
직능연합당16,622표
0.09%
0
신미래당12,122표
0.07%
0
합계17,131,537표

지역별 비례대표 득표

편집
지역통합민주당한나라당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친박연대진보신당기타합계
서울 1,037,469 1,473,477 175,731 138,751 169,787 382,814 148,363 3,663,382
인천 207,480 335,252 51,609 48,937 37,007 91,792 26,912 844,808
경기 944,421 1,465,283 169,682 171,974 157,101 409,894 116,386 3,580,676
강원 109,108 266,768 37,168 34,841 21,455 72,078 13,199 586,007
대전 91,777 122,220 169,358 19,109 18,051 42,670 9,944 493,069
충남 98,045 196,418 273,564 34,052 18,392 52,283 12,411 724,061
충북 133,199 189,681 76,521 31,717 18,717 68,800 10,981 557,575
광주 304,789 25,551 4,048 40,550 16,917 5,595 11,151 432,950
전남 486,790 46,256 7,721 73,414 16,805 12,884 11,626 727,749
전북 424,663 61,091 10,847 49,047 19,335 15,493 16,148 660,398
부산 152,494 521,286 62,238 63,243 45,136 270,393 33,211 1,197,774
울산 34,295 157,453 12,382 52,308 12,799 68,728 16,398 367,313
경남 120,889 517,675 48,700 122,089 39,335 206,373 34,190 1,149,379
대구 41,649 393,558 33,437 27,366 24,621 276,790 19,417 845,190
경북 60,857 579,285 31,385 44,329 25,521 255,422 19,067 1,083,760
제주 65,720 70,473 9,072 21,718 11,014 26,741 5,062 217,446
전국4,313,645
(25.17%)
6,421,727
(37.48%)
1,173,463
(6.84%)
973,445
(5.68%)
651,993
(3.80%)
2,258,750
(13.18%)
504,466
(2.94%)
1,486,041
(4.91%)
17,131,537

선거 통계

편집

당선자

편집

지역구

편집
정당
한나라당
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무소속
시·도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종로구중구용산구성동구 갑성동구 을
박진나경원진영진수희김동성
광진구 갑광진구 을동대문구 갑동대문구 을중랑구 갑
권택기추미애장광근홍준표유정현
중랑구 을성북구 갑성북구 을강북구 갑강북구 을
진성호정태근김효재정양석최규식
도봉구 갑도봉구 을노원구 갑노원구 을노원구 병
신지호김선동현경병권영진홍정욱
은평구 갑은평구 을서대문구 갑서대문구 을마포구 갑
이미경문국현이성헌정두언강승규
마포구 을양천구 갑양천구 을강서구 갑강서구 을
강용석원희룡김용태구상찬김성태
구로구 갑구로구 을금천구영등포구 갑영등포구 을
이범래박영선안형환전여옥권영세
동작구 갑동작구 을관악구 갑관악구 을서초구 갑
전병헌정몽준김성식김희철이혜훈
서초구 을강남구 갑강남구 을송파구 갑송파구 을
고승덕이종구공성진박영아유일호
송파구 병강동구 갑강동구 을
김성순김충환윤석용
부산광역시중구·동구서구영도구부산진구 갑부산진구 을
정의화유기준김형오허원제이종혁
동래구남구 갑남구 을북구·강서구 갑북구·강서구 을
이진복김정훈김무성박민식허태열
해운대구·기장군 갑해운대구·기장군 을사하구 갑사하구 을금정구
서병수안경률현기환조경태김세연
연제구수영구사상구
박대해유재중장제원
대구광역시중구·남구동구 갑동구 을서구북구 갑
배영식주성영유승민홍사덕이명규
북구 을수성구 갑수성구 을달서구 갑달서구 을
서상기이한구주호영박종근이해봉
달서구 병달성군
조원진박근혜
인천광역시중구·동구·옹진군남구 갑남구 을연수구남동구 갑
박상은홍일표윤상현황우여이윤성
남동구 을부평구 갑부평구 을계양구 갑계양구 을
조전혁조진형구본철신학용송영길
서구·강화군 갑서구·강화군 을
이학재이경재
광주광역시동구서구 갑서구 을남구북구 갑
박주선조영택김영진강운태강기정
북구 을광산구 갑광산구 을
김재균김동철이용섭
대전광역시동구중구서구 갑서구 을유성구
임영호권선택박병석이재선이상민
대덕구
김창수
울산광역시중구남구 갑남구 을동구북구
정갑윤최병국김기현안효대윤두환
울주군
강길부
경기도수원시 장안구수원시 권선구수원시 팔달구수원시 영통구성남시 수정구
박종희정미경남경필김진표신영수
성남시 중원구성남시 분당구 갑성남시 분당구 을의정부시 갑의정부시 을
신상진고흥길임태희문희상강성종
안양시 만안구안양시 동안구 갑안양시 동안구 을부천시 원미구 갑부천시 원미구 을
이종걸이석현심재철임해규이사철
부천시 소사구부천시 오정구광명시 갑광명시 을평택시 갑
차명진원혜영백재현전재희원유철
평택시 을양주시·동두천시안산시 상록구 갑안산시 상록구 을안산시 단원구 갑
정장선김성수이화수홍장표천정배
안산시 단원구 을고양시 덕양구 갑고양시 덕양구 을고양시 일산동구고양시 일산서구
박순자손범규김태원백성운김영선
의왕시·과천시구리시남양주시 갑남양주시 을오산시
안상수주광덕최재성박기춘안민석
화성시 갑화성시 을시흥시 갑시흥시 을군포시
김성회박보환백원우조정식김부겸
하남시파주시용인시 처인구용인시 기흥구용인시 수지구
문학진황진하우제창박준선한선교
안성시김포시광주시포천시·연천군이천시·여주군
김학용유정복정진섭김영우이범관
양평군·가평군
정병국
강원도춘천시원주시강릉시동해시·삼척시속초시·고성군·양양군
허천이계진최욱철최연희송훈석
홍천군·횡성군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황영철이광재이용삼
충청북도청주시 상당구청주시 흥덕구 갑청주시 흥덕구 을충주시제천시·단양군
홍재형오제세노영민이시종송광호
청원군보은군·옥천군·영동군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변재일이용희김종률
충청남도천안시 갑천안시 을공주시·연기군보령시·서천군아산시
양승조박상돈심대평류근찬이명수
서산시·태안군논산시·계룡시·금산군부여군·청양군홍성군·예산군당진군
변웅전이인제이진삼이회창김낙성
전라북도전주시 완산구 갑전주시 완산구 을전주시 덕진구군산시익산시 갑
이무영장세환김세웅강봉균이춘석
익산시 을정읍시남원시·순창군김제시·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
조배숙유성엽이강래최규성정세균
고창군·부안군
김춘진
전라남도목포시여수시 갑여수시 을순천시나주시·화순군
박지원김성곤주승용서갑원최인기
광양시담양군·곡성군·구례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영암군해남군·완도군·진도군
우윤근김효석박상천유선호김영록
무안군·신안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이윤석이낙연
경상북도포항시 북구포항시 남구·울릉군경주시김천시안동시
이병석이상득김일윤이철우김광림
구미시 갑구미시 을영주시영천시상주시
김성조김태환장윤석정희수성윤환
문경시·예천군경산시·청도군고령군·성주군·칠곡군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이한성최경환이인기정해걸강석호
경상남도창원시 갑창원시 을마산시 갑마산시 을진주시 갑
권경석권영길이주영안홍준최구식
진주시 을진해시통영시·고성군사천시김해시 갑
김재경김학송이군현강기갑김정권
김해시 을밀양시·창녕군거제시양산시의령군·함안군·합천군
최철국조해진윤영허범도조진래
남해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거창군
여상규신성범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갑제주시 을서귀포시
강창일김우남김재윤

비례대표

편집
#한나라당통합민주당친박연대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
1강명순이성남양정례이영애곽정숙이용경
2임두성박은수서청원조순형홍희덕이한정
3배은희최영희김노식박선영이정희
4강성천송민순송영선김용구
5이정선전혜숙김을동
6김장수정국교정하균
7김소남전현희정영희
8정진석서종표노철래
9이은재신낙균
10이달곤최문순
11김금래김상희
12나성린김충조
13조윤선박선숙
14조문환안규백
15손숙미김유정
16원희목
17이애주
18이춘식
19정옥임
20임동규
21김옥이
22이정현

기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고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