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군주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독일의 군주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카롤링거 제국의 동쪽이 동 프랑크 왕국으로 분리된 이후 1918년 독일에서 제정이 폐지될 때까지 존재했다. 동프랑크 왕국신성 로마 제국으로 발전했고, 신성 로마 제국은 독일 연방으로 계승되었다. 여러 소공국, 분국, 제후국 등으로 쪼개진 독일의 여러 나라들은 1871년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독일 제국으로 통합되었고 독일 제국은 1918년까지 존속하다가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동 프랑크 왕

편집
이름왕가왕위계승일신성로마황제
계승일
퇴임일비고
독일왕 루트비히 2세카롤링거 왕조843년 8월 11일876년 8월 23일자비왕 루트비히의 아들
프랑크의 루트비히 3세카롤링거 왕조876년 8월 28일882년 1월 20일독일왕 루트비히의 둘째 아들;
동프랑크지배, 작센 공
880년부터 바이에른 공겸임
카를만카롤링거 왕조876년 8월 28일880년 3월 22일독일왕 루트비히의 첫째 아들,
바이에른 공이탈리아 왕
뚱보왕 카를 3세카롤링거 왕조876년 8월 28일881년 2월 12일887년 11월 11일독일왕 루트비히의 막내 아들;
882년부터 전 동부 왕국통치
아르눌프카롤링거 왕조887년 11월 30일896년 4월 25일899년 12월 8일카를로만의 서자
케른텐 공
츠벤티볼트카롤링거 왕조899년 12월 8일900년아르눌프의 서자
루트비히 4세 유아왕카롤링거 왕조900년 1월 21일911년 8월 20일아르눌프의 아들
콘라두스 1세콘라트 가문911년 11월 10일918년 12월 23일  아르눌프의 외손자[1], 루트비히 4세 유아왕
생질, 잘리어 왕조, 프랑코니아를 지배,
911년부터 왕국 동부 전체 지배

독일의 왕 &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편집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공인받기 이전의 군주들은 로마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하인리히 1세의 즉위 이후의 군주들은 게르만인의 왕 또는 프랑크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1028년 하인리히 3세의 즉위 이후부터는 독일의 군주를 로마 왕(King of Roma) 또는 로마인의 왕(King of Roman)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름왕가왕위계승일신성로마황제
계승일
퇴임일비고
새사냥꾼왕 하인리히 1세오토 왕가919년 4월 23일936년 7월 2일 오토왕조의 시초, 작센과 로렌 지배,
919년부터 왕국 동부 전체 지배
대머리 아르눌프바이에른 가919년921년하인리히 1세의 대립 왕
오토 1세오토 왕조936년 8월 7일962년 2월 2일973년 5월 7일하인리히 1세의 아들; 로타르 1세이후 처음으로
아헨 성당에서 대관식을 치름
신성로마제국 황제에 오름 (961년).
오토 2세오토 왕조961년 5월 26일967년 12월 25일983년 12월 7일오토 1세의 아들;
아버지 아래서 독일왕 (961–973)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오토 왕조983년 12월 25일996년 5월 21일1002년 1월 21일오토 2세의 아들, 983년~996년 기간 중 모후 테오파노의 섭정기간
하인리히 2세오토 왕조1002년 6월 7일1014년 4월 26일1024년 7월 13일하인리히 1세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의 손자
콘라트 2세잘리어 왕조1024년 9월 8일1027년 3월 26일1039년 6월 4일오토 1세의 딸 리우트가르트와 콘라두스 1세의 외손자 콘라트 적왕의 증손자, 상부 부르고뉴 합병
프랑크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마지막으로 사용
하인리히 3세잘리어 왕조1028년 4월 14일1039년 6월 4일1056년 10월 5일콘라트 2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028–1039)
독일 왕으로는 최초로 로마 왕, 로마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
하인리히 4세잘리어 왕조1054년 7월 17일1084년 3월 21일1105년 12월 31일하인리히 3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054–1056)
루돌프 폰 라인펠덴라인펠덴1077년 3월 15일1080년 10월 15일하인리히 4세의 대립왕
헤르만 폰 잘름잘름1081년 8월 6일1081년 9월 28일하인리히 4세의와 대립왕
콘라트잘리어 왕조1087년 5월 30일1101년 7월 27일하인리히 4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087–1098)
이탈리아 왕(1093–1098),
1095–1101 에 반란을 일으킴.
하인리히 5세잘리어 왕조1099년 1월 6일1111년 4월 13일1125년 5월 23일하인리히 4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099–1105),
아버지에 의해 강제퇴위
로타르 3세주플린부르크 왕가1125년 8월 30일1133년 6월 4일1137년 12월 4일 
콘라트 3세호엔슈타우펜 왕가1138년 3월 7일1152년 2월 15일하인리히 4세의 외손자;
로타르 3세의 대립왕 (1127–1135)
하인리히 베렝가르호엔슈타우펜 왕가1147년 3월 30일1150년 8월 경콘라트 3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147–1150)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롯사호엔슈타우펜 왕가1152년 3월 4일1155년 6월 18일1190년 6월 10일콘타르 3세의 조카
하인리히 6세호엔슈타우펜 왕가1169년 8월 15일1191년 4월 14일1197년 9월 28일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169–1190)
프리드리히 2세호엔슈타우펜 왕가1197년1197년하인리히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롯사의 손자;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196
슈바벤의 필립호엔슈타우펜 왕가1198년 3월 6일1198년 3월 6일1208년 8월 21일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오토 4세의 대립왕
오토 4세벨프 가문1198년 3월 29일1209년 10월 4일1215년 7월 5일로타르 2세의 손자;
슈바벤의 필립과 경쟁관계;
나중에 프리드리히 2세
의해 반대당하고 1215년에 퇴위함;
1218년 5월 19일 죽음
프리드리히 2세호엔슈타우펜 왕가1212년 12월 5일1220년 11월 22일1250년 12월 26일복위, 하인리히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롯사의 손자;
오토 4세의 대립왕 1215년까지
하인리히호엔슈타우펜 왕가1220년 4월 23일1235년 8월 15일프리드리히 2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220–1235)
콘라트 4세호엔슈타우펜 왕가1237년 5월1250년 12월 13일1254년 5월 1일프리드리히 2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237–1250)
하인리히 라스페튀링기아1246년 5월 22일1247년 2월 16일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롯사의 조카손자
프리드리히 2세의 경쟁관계의 왕
네덜란드의 빌렘네덜란드1247년 10월 3일1256년 1월 28일프리드리히 2세와 콘라트 4세와 대립(1247–1254)
콘월의 리처드플란타게네트1257년 1월 13일1272년 4월 2일프리드리히의 처남;
카스티야의 알폰소와 대립관계. 독일을 방문
알폰소 10세안달루시아 계1257년 4월 1일1275년필립의 외손자; 콘월의 리차드와 대립함;
독일에 간 적이 없어 실권이 없었음;
나중에는 루돌프 1세에 반대함
루돌프 1세합스부르크 왕가1273년 9월 29일1291년 7월 15일 
나사우의 아돌프나사우1292년 5월 5일1298년 6월 23일
알브레히트 1세합스부르크 왕가1298년 6월 24일1308년 5월 1일루돌프 1세의 아들I; 아돌프의 경쟁자 (1298)
하인리히 7세룩셈부르크 왕가1308년 11월 27일1311년 6월 13일1313년 8월 24일 
루트비히 4세비텔스바흐 가문1314년 10월 20일1314년 10월 20일
1328년 1월 17일 (실제 즉위)
1347년 10월 11일루돌프 1세의 손자;
미남왕 프리드리히의 경쟁자 (1314–1322)
프리드리히 미남왕합스부르크 왕가1314년 10월 19일/
1325년 9월 5일
1322년 9월 28일/
1330년 1월 13일
알브레히트 1세의 아들;
루트비히 4세와 경쟁관계 (1314–1322);
나중에는 루트비히와 협력함 (1325–1330)
카를 4세룩셈부르크 왕가1346년 7월 11일1350년 4월 5일1378년 11월 29일하인리히 7세의 손자,
루트비히4세와 경쟁관계 (1346–1347)
슈바르츠부르크의 귄터슈바르츠부르크1349년 1월 30일1349년 5월 24일카를 4세와 경쟁관계
벤첼룩셈부르크 왕가1376년 6월 10일1378년 11월 29일1400년 8월 20일카를 4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376–1378);
1400년에 퇴위, 1419년 죽음
브라운슈바이크-뤼넨부르트의 프리드리히브라운슈바이크-뤼넨부르트1400년1400년벤첼의 경쟁자
루프레히트비텔스바흐 가문1400년 8월 21일1400년 8월 21일1410년 3월 18일루트비히 4세의 고종조카
지기스문트룩셈부르크 왕가1410년 9월 20일/
1411년 7월 21일
1433년 5월 3일1437년 9월 9일카를 4세의 아들
모라비아의 욥스트룩셈부르크 왕가1410년 10월 1일1411년 1월 8일카를 4세의 사촌; 지기스문트의 경쟁자
알브레히트 2세합스부르크 왕가1438년 3월 18일1438년 3월 18일1439년 10월 27일알브레히트1세의 4대손;
지기스문트의 딸, 엘리자베트의 남편
프리드리히 3세합스부르크 왕가1440년 2월 2일1452년 3월 16일1493년 8월 19일알브레히트 1세의 4대손;
알브레히트 2세의 친척뻘
막시밀리안 1세합스부르크 왕가1486년 2월 16일1508년 2월 4일
선출 황제
1519년 1월 12일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1486–1493);
선출 황제의 직위를 교황에게서 얻음 (1508)
카를 5세합스부르크 왕가1519년 6월 28일1530년 2월 24일
(1519년부터 선출황제였음)
1556년 9월 21일
(1558년까지 공식퇴임않음)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
교황으로부터 대관식을 치른 마지막 황제
(카를 5세 다음 황제는 모두선출 황제임);
1556년에 사임하나 1558년까지 공식퇴위 않음;
1558년 11월 21일죽음;
페르디난트 1세합스부르크 왕가1531년 1월 5일1556년 9월 21일
선출 황제
1564년 7월 25일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 카를 5세의 동생;
형 카를 5세 밑에서 독일왕 (1531–1556);
아헨 성당에서 마지막으로 대관식을 치른 왕.
막시밀리안 2세합스부르크 왕가1562년 11월 22일1564년 7월 25일
선출 황제
1576년 10월 12일페르디난트 1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562–1564)
루돌프 2세합스부르크 왕가1575년 10월 27일1576년 11월 2일
선출 황제
1612년 1월 20일막시밀리안 2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575–1576)
마티아스합스부르크 왕가1612년 6월 13일1612년 6월 13일
선출 황제
1619년 3월 20일막시밀리안 2세의 아들
페르디난트 2세합스부르크 왕가1618년 8월 28일1619년 3월 20일
선출 황제
1637년 2월 15일페르디난트 1세의 손자
페르디난트 3세합스부르크 왕가1636년 12월 22일1637년 2월 15일
선출 황제
1657년 4월 2일페르디난트 2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636–1637)
페르디난트 4세합스부르크 왕가1653년 5월 31일1654년 7월 9일페르디난트 3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레오폴트 1세합스부르크 왕가1658년 7월 18일1658년 7월 18일
선출 황제
1705년 5월 5일페르디난트 3세의 아들
요제프 1세합스부르크 왕가1690년 1월 23일1705년 5월 5일
선출 황제
1711년 4월 17일레오폴트 1세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690–1705)
카를 6세합스부르크 왕가1711년 10월 27일1711년 10월 27일
선출 황제
1740년 10월 20일레오폴트 1세의 아들
카를 7세비텔스바흐 가문1742년 1월 14일1742년 1월 14일
선출 황제
1745년 1월 20일요세프 1세의 딸인 마리아 아말리아의 남편,
프란츠 1세로렌 가문1745년 9월 13일1745년 9월 13일
선출 황제
1765년 8월 18일카를 6세의 딸, 마리아 테레지아의 남편
요제프 2세합스부르크-로렌 왕가1764년 3월 27일1765년 8월 18일
선출 황제
1790년 2월 20일프란츠 1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들;
아버지 밑에서 독일왕 (1764–1765)
레오폴트 2세합스부르크-로렌 왕가1790년 9월 30일1790년 9월 30일
선출 황제
1792년 3월 1일프란츠 1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들
프란츠 2세합스부르크-로렌 왕가1792년 7월 7일1792년 7월 7일
선출 황제
1806년 8월 6일레오폴트 2세의 아들;
신성 로마 제국 해체되다;
오스트리아 황제 (1804–1835);
1835년 죽음

라인 동맹 1806-1813

편집
이름직위왕가재위 시작일재위 종료일
나폴레옹 1세프랑스의 황제, 라인 동맹의 보호자보나파르트 왕가1806년 7월 25일1813년 10월 19일

독일 연방 1815-1866

편집
이름직 위왕가재위 시작일재위 종료일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
독일 연방의 의장
합스부르크-로렌 왕가1815년 6월 20일1835년 3월 2일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
독일 연방의 의장
합스부르크-로렌 왕가1835년 3월 2일1848년 7월 12일
요한 공제국 섭정[2]합스부르크-로렌 왕가1848년 7월 12일1849년 12월 20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프로이센 왕국의 왕호엔촐레른 왕가1849년 프랑크푸르트 의회로부터
독일의 황제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함
프란츠 요제프 1세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
독일 연방의 의장
합스부르크-로렌 왕가1850년 5월 1일1866년 8월 24일

북독일 연방 1866-1871

편집

오스트리아의 황제를 정통으로 간주한 지역에서는 북독일 연방에 포함되지 않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편입하였다.

이름직 위왕 가직위 시작일직위 종료일
빌헬름 1세프로이센 왕국의 왕, 북독일 연방의 의장호엔촐레른 왕가1867년 7월 1일1871년 1월 18일

독일 제국 1871-1918

편집
황제명직 위왕가재위 시작일재위 종료일
빌헬름 1세독일 제국의 황제, 프로이센 왕국의 왕호엔촐레른 왕가1871년 1월 18일1888년 3월 9일
프리드리히 3세독일 제국의 황제, 프로이센 왕국의 왕호엔촐레른 왕가1888년 3월 9일1888년 6월 15일
빌헬름 2세독일 제국의 황제, 프로이센 왕국의 왕호엔촐레른 왕가1888년 6월 15일1918년 11월 9일

독일 제국 황실 수장 (1918~)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그의 서녀 글리스무트와 프랑켄 공 콘라트의 아들
  2. 1848년 독일 혁명으로 독일 연방을 대신한 임시 정부의 수장.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가 임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