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영어: Malaysia Airlines, 중국어: 马来西亚航空, 말레이어: Penerbangan Malaysia, 자위: سيستم ڤنربڠن مليسيا)은 말레이시아 최대의 항공사로서 61개 취항지에 취항하는 동남아시아 최대 항공사 중 하나다. 항공 동맹 연합인 원월드 회원으로 말레이시아 슬랑오르주 세팡 소재의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허브 공항으로 삼고 있으며, 이전에는 세나이 국제공항에 국내선 허브를 두기도 하였다. 영국 스카이트랙스에 선정되어 5스타 항공사에 뽑히기도 하였다.[1]

말레이시아 항공
மலேசிய வான்வழி
马来西亚航空

Malaysia Airlines
말레이시아 항공의 에어버스 A350-900
말레이시아 항공의 에어버스 A350-900
IATAICAO항공사 콜사인
MHMASMalaysian
창립일 1947년 (말레이안 항공으로)
허브 공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제2 허브 공항
동맹체 원월드
상용고객
우대제도
Enrich
VIP 라운지 Golden Lounge
보유 항공기 79 (화물기 포함)
취항지 수 61
슬로건 Journey are made by the people you travel with.
본사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핵심 인물 크리스토프 뮐러 (CEO)
모기업
자회사
웹사이트 http://www.malaysiaairlines.com
말레이시아 항공의 본사

역사

편집

1947년에 말레이얀 항공(영어: Malayan Airways Limited)으로 설립했으며 현재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에 해당된다. 허브 공항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에서 전 세계 100여 곳에 취항하고 있다. 1947년 국내선 노선을 운항을 시작했으며 3개월 만에 동남아시아 지역에 취항했다. 1957년 말레이시아가 독립을 선포한 이후 신규 노선을 확대했다.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 수립과 함께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이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정부가 공동 소유하게 되면서 다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영어: Malaysia-Singapore Airlines)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1년 공동소유 체제가 끝나고 두 부문으로 분리된 뒤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싱가포르는 따로 싱가포르항공을 설립했다. 이후 계속해서 항공기를 늘리고 노선을 확대하며 성장했다. 항공기 정비 부문에 투자를 늘리는 등 새로운 사업에도 눈을 돌렸다. 1988년에 말레이시아항공에 현재의 CI 변경되었다. 1997년 중간에 기항하지 않고 세계에서 가장 긴 거리를 비행하는 기록을 세웠다. 보잉 777 항공기로 동쪽의 대권항로를 이용해 시애틀에서 쿠알라룸푸르까지 비행했다.[2]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연속 4년간 베스트 퍼스트 클래스상,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연속 5년간 베스트 캐빈 스탭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2005년2006년은 세계에서 5개 항공사밖에 없는 5 Star 항공사에 선출 되었고 국제적인 평가는 매우 높은편에 속한다. 2006년 유가 상승으로 경영이 악화되었으나 구조 조정을 단행한 뒤 건실한 항공사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자회사로 파이어 플라이, MAS 윙스와 화물 항공사인 MAS 카고가 있다. 파이어 플라이2007년 설립한 저가 항공사로 수방과 페낭에 거점을 두고 말레이 반도와 주변국에 취항하고 있다. 이글 익스프레스2011년에 설립한 말레이시아의 전세 항공사로 2012년 9월부터 운항하기 시작했다. MAS 윙스는 국내선 전용 저가 항공사보르네오섬사바주사라와크 주에 거점을 두고 운항하고 있다. 영국의 항공전문 평가 기관인 스카이트랙스에 의해 5성급 항공사로 선정되었다.[3] 서비스와 안전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많은 상을 수상했다.

2012년 8월부터 에어버스 A380-800 항공기를 도입해 런던을 시작으로 9월시드니행 노선에 취항했다.[4] 2013년 2월항공 동맹원월드에 가입했다. 최근 들어 말레이시아 항공은 2014년에 발생한 항공 사고로 인해 수익성 개선을 위해 6,000명의 직원을 감원하는 항공사의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5] 같은 해 12월에 최초로 외국인 CEO를 영입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적자에 말레이시아 항공은 다시 재국영화 경영 체제로 하여 적자해소까지 국영화를 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내 서비스

편집

일부 기종에서 이슬람교도(무슬림)를 위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고, 좌석 모니터부터 메카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는 등,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말레이시아만 가능한 서비스도 있다. 기내식은 모두 이슬람교식이며 이슬람교를 믿는 국적사답게 돼지고기는 당연히 사용하지 않는다. 음료는 무료로 제공된다. 퍼스트 클래스, 비즈니스 클래스에서 제공되는 음식(꼬치구이의 쇠고기, 닭고기에 땅콩 소스를 곁들인 것)은 인기가 많다. 수직꼬리에 그려져 있는 동사의 심볼 마크는 말레이시아의 전통적인 초승달형의 연을 도안화한 것이다.

운항 노선

편집
  • 2018년 2월 기준으로 말레이시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

편집
  • 말레이시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다.[7][8][9][10]

인터라인 파트너와 SPA 파트너

편집
  • 말레이시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에 인터라인 파트너와 SPA 파트너를 제휴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시 별도로 말레이시아 항공의 직원에게 티켓을 구매해야 한다.

보유 기종

편집
  • 2020년 5월 기준으로 말레이시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12][13]

현재 사용하는 기종

편집
말레이시아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대수주문옵션승객비고
FCY+Y합계
에어버스 A330-2006000190268287구. 에어 베를린의 항공기를 인수[14]
에어버스 A330-3001500027162472902대는 원월드 특별도장 적용
에어버스 A330-900neo0202
TBA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5][16]
에어버스 A350-90070243527220286[15][17]
보잉 737-800420001601441601대는 원월드 특별도장 적용
1대는 1972년 특별도장 적용
150166
보잉 737 MAX 8223250120162174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18][19][20][21]
보잉 737 MAX 10010
TBA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
화물 기종
에어버스 A330-200F300
화물
합계745329

퇴역 기종

편집
말레이시아 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대수도입 년도퇴역 년도대체 기종비고
에어버스 A300B4-10011983년1983년임차 기종스칸디나비아 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00B4-20041979년1995년에어버스 A330
11988년1989년임차 기종에어 프랑스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30-20052003년2013년에어버스 A330-300
에어버스 A330-300131995년2012년대체 기종 없음
에어버스 A380-80062012년2020년대체 기종 없음[20][22]
보잉 707-320C101958년1980년에어버스 A300B4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보잉 737-10031965년1972년보잉 737 Classic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보잉 737-200231987년1993년보잉 737 Classic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보잉 737-300F21993년2000년대체 기종 없음MAS 카고 운항
보잉 737-400461990년2014년보잉 737-80012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37-50091992년2001년보잉 737-800
보잉 737-700/BBJ111999년2003년대체 기종 없음말레이시아 왕립 공군 왕실 수송부로 이전
보잉 737-800132005년2023년대체 기종 없음
5자회사 파이어 플라이로 이전
22005년2006년임차 기종트래블서비스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47-10011982년1984년보잉 747-200
보잉 747-20022003년2004년임차 기종영국항공 임차 운항
21991년1993년에어 뉴질랜드 임차 운항
21991년1993년에어 애틀랜타 아이슬란드 임차 운항
11984년1984년내셔널 항공 임차 운항
11987년1987년싱가포르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47-200C21983년1983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보잉 747-200SF92002년2011년임차 기종에어 애틀랜타 아이슬란드 임차 운항
보잉 747-300M11998년2002년보잉 747-400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
보잉 747-400191990년2014년보잉 777-200ER1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47-400F22006년2016년대체 기종 없음
보잉 747-400M21989년2003년보잉 777-200ER보잉에 매각
보잉 777-200ER151997년2016년에어버스 A330
에어버스 A350-900
3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11997년2014년대체 기종 없음우크라이나 상공에서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
12002년2014년대체 기종 없음베이징으로 비행 중 갑작스러운 통신두절 및 공중실종
더글러스 DC-35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더글러스 DC-44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브리스틀 브리나티아7불명
브리틴 노먼 아이슬랜드10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드 하빌랜드 코메트6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드 하빌랜드 캐나다 DHC-2 비버13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드 하빌랜드 캐나다 DHC-6 트윈 오터11불명
포커 275불명포커 50
포커 5091989년2007년대체 기종 없음
트윈 파이오니어7불명
빅커스 비스카운트15불명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항공기
맥도넬더글러스 DC-10-1031989년1990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DC-10-3061981년1999년맥도넬더글러스 MD-11
21978년1978년임차 기종에어 뉴질랜드 임차 운항
21984년1995년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11980년1981년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임차 운항
11980년1981년래커 항공 임차 운항
11980년1981년핀에어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DC-10-30CF51985년1994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MD-1131994년1998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MD-11CF21997년2000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MD-11F11998년1998년임차 기종월드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사건 및 사고

편집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보관된 사본”. 2012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0일에 확인함. 
  2. 대권 항로는 지구 표면 위에 있는 두 점 사이의 최단 행로를 뜻한다.
  3. 5성급으로 분류된 항공사 수는 6개의 업체에 해당된다.
  4. 말레이시아 항공, 8월부터 A380 운항 Archived 2014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아시아투데이》, 2012년 3월 11일 작성, 2012년 4월 2일 확인.
  5. 이민찬 (2014년 8월 29일). “말레이시아항공 고강도 구조조정…30% 감원”.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26일에 확인함. 
  6. “잇단 악재 말레이시아항공, 첫 외국인 CEO 영입”. 《연합뉴스》. 2014년 8월 29일. 2014년 5월 26일에 확인함. 
  7. “Malaysia Airlines Codeshare Partners”. Malaysia Airlines. 2012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8일에 확인함. 
  8. “Malaysia Airlines start talks with SkyTeam”. The Star. 2012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8일에 확인함. 
  9. “Malaysia Airlines and China Southern Airlines establish strategic partnership through codeshare agreement”. Routes Online. 2012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8일에 확인함. 
  10. “Malaysia Airlines Business Transformation Plan: Project Mosaic”. Malaysia Airlines. 2012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8일에 확인함. 
  11. http://airlineroute.net/2012/02/16/mhpg-codeshare/
  12. “Fleet (Malaysia Airlines - Fleet)”. Malaysia Airlines. 2018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4일에 확인함. 
  13. “Planespotters.net Fleet info for Malaysia Airlines”. 2014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6일에 확인함. 
  14. “Malaysia Airlines To Acquire 6 Airbus A330-200”. 2017년 9월 29일. 2017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15. “Malaysia Airlines to become an Airbus A350 operator”. 2015년 9월 10일. 2015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5일에 확인함. 
  16. “Malaysia Airlines secures 20 A330-900s”. 2022년 8월 15일. 
  17. “Malaysia Airlines' first A350 has arrived in Kuala Lumpur”. 2017년 12월 1일. 
  18. “Boeing, Malaysia Airlines Announce Order for up to 50 737 MAX Airplanes” (보도 자료). 2017년 7월 27일. 
  19. “Air Lease Corporation Announces Lease Placement of 25 New Boeing 737-8 Aircraft with Malaysia Aviation Group” (보도 자료). 2022년 2월 24일. 
  20. “Malaysia Airlines retires A380s, to take B737 MAX in 2024”. 2021년 5월 6일. 
  21. “MAG’s First Boeing 737-8 Aircraft Advances its Fleet Modernisation” (보도 자료). 2023년 11월 20일. 
  22. “Malaysia Airlines to return A380s to Airbus by 2023”. 2022년 9월 30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