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과에 속하는 중형 맹금류

(학명Falco peregrinus 팔코 페레그리누스[*], 문화어: 푸른매)는 매과에 속하는 중형 맹금류이다. 해청(海靑)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23-7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였으나 환경부에 의해 최근 2급으로 하향되었다.

매

🔊 매의 소리
생물 분류ℹ️
계:동물계
문:척삭동물문
강:조강
목:매목
과:매과
속:매속
종:
학명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1]
  • Falco atriceps­ ((Hume))
  • Falco kreyenborgi­ ((Kleinschmidt, 1929))
  • Falco pelegrinoides madens­ ((Ripley & Watson, 1963))
  • Rhynchodon peregrinus­ ((Tunstall, 1771))
향명
  • 독일어: Wanderfalke→떠돌이 매
  • 영어: peregrine falcon→떠돌이 매
  • 스페인어: halcón peregrino[2]→떠돌이 매
  • 핀란드어: Muuttohaukka
  • 프랑스어: Faucon pèlerin→떠돌이 매
  • 일본어: ハヤブサ
  • 한국어: [1]
  • 몽골어: ᠡᠭᠡᠯ
    ᠱᠣᠩᠬᠣᠷ
  • 러시아어: Сапса́н[3]
  • 중국어: 游隼
아종
  • 17-19종, 본문 참조
매의 분포

황색: 번식하는 여름 철새
녹색: 번식하는 텃새
청색: 겨울 철새
연청색: 나그네새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4]

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
평가기관: 대한민국 환경부[1]

절멸위구 Ⅱ류(VU):
평가기관: 일본 환경성(MOE)-JRDB[5]


CITES Ⅰ: 거래 근절 필요
평가기관: CITES[6]

Falco peregrinus
Falco peregrinus madens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제323-7호
지정일1982년 11월 16일
소재지전국 일원
천연기념물 매 | 국가문화유산포털

생태

편집

생김새

편집

몸길이 34-58cm, 날개편길이 80~120cm, 몸무게는 수컷이 550-750g, 암컷은 700-1,500g 정도이다. 부리가 갈고리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힘센 발에는 강한 발톱이 있다. 날개가 길고 뾰족하고 낫 모양으로 뒤로 휘어져 있으며, 부리 가장자리에 이빨과도 같은 돌기가 나 있다. 눈의 홍체는 어두운색이며 눈 가장자리에는 노란테두리로 둘러져 있어 참매와 구별된다.

사냥

편집

매는 인간의 시력보다 8배나 좋기 때문에 잘 볼 수 있으며, 힘차게 날다가 먹이를 사냥할 때 높은 곳에서 먹이를 향해 급강하하여 발로 먹이를 차거나 잡아채는데, 공중에서 시속 300km/h 이상의 속도로 자유낙하하여 먹이를 낚아채는 광경은 장관이다. 관측된 최고속도는 389km/h이다. 비둘기, 개똥지빠귀, 등의 조류가 주 먹이이나, 말매미 등 대형 곤충을 잡아먹기도 한다. 한국에서 서식하는 기간은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이다.

번식

편집

북반구에만 사는 참매와 달리 매는 전 세계에 걸쳐서 서식한다. 둥지는 바닷가의 높은 암벽 위나 움푹 들어간 곳 또는 비에 젖지 않을 만한 곳을 찾아 짓는다. 산란기는 3월 하순경부터 5월경이며 산란하는 알의 수는 3-4개인데 이틀에 하나씩 알을 낳고 암수가 같이 알을 품으며 28-29일 만에 부화한다. 새끼가 알에서 깨어난 후, 몇 주 동안은 수컷이 가족들을 먹여 살린다. 알에서 깨어나 일 년 동안 죽지 않고 살아 남은 매는 약 10~20년 이상 산다.

이용

편집

한국에서는 매나 참매를 훈련시켜 이나 토끼를 사냥하는 전통이 있다. 매사냥(falconry)라고 부른다.전 세계적으로는 취미로 즐기고 있으며, 몽골에서도 검독수리를 길들여 여우와 늑대를 사냥하는 전통이 있다.

각주

편집
  1. 국립생물자원관. “매”.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2. Bernis, F.; De Juana, E.; Del Hoyo, J.; Fernández-Cruz, M.; Ferrer, X.; Sáez-Royuela, R. y Sargatal, J. (1994). «Nombres en castellano de las aves del mundo recomendados por la Sociedad Española de Ornitología (Segunda parte: Falconiformes y Galliformes)». Ardeola 41 (2): 183-191.
  3. Коблик Е. А., Редькин Я. А., Архипов В. Ю. Список птиц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М.: Товарищество научных изданий КМК, 2006. — 256 с. ISBN 5-87317-263-3
  4. BirdLife International. 2019. Falco peregrinus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45354964A155500538. https://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45354964A155500538.en. Downloaded on 11 November 2021.
  5. 環境省 自然環境局 生物多様性センター
  6. “Appendices | CITES”. 《cites.org》.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생물종에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