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구

대한민국 성남시의 자치구

분당구(盆唐區)는 성남시 남부에 위치한 이다. 북으로는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와 접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의왕시, 동쪽으로는 광주시, 남쪽으로는 용인시와 접하고 있다. 1989년 노태우 정부의 분당신도시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1992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 판교신도시를 개발하고 있다.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분당구의 인구는 507,054명인데, 이는 성남시 인구의 51.11%에 이른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신분당선으로 서울특별시와 연결되어 있다.

분당구
분당구의 위치
분당구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법정동18
청사 소재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50
단체장주광호
국회의원갑: 안철수(국민의힘)
을: 김은혜(국민의힘)
지리
면적69.77km2
인문
인구484,841명 (2022년 1월년)
세대194,372세대 (2021[1]년)
지역 부호
웹사이트분당구청

명칭 유래

편집

분당구라는 명칭은 중심이 되는 마을인 분당동에서 가져왔다. 분당(盆唐)이라는 이름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분점리(盆店里:동이정)와 당우동(唐隅洞:당모루) 등의 마을을 합치고, 두 마을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지명이다.[2]

현재의 성남시 분당구에 해당되는 지역은 1960년대까지도 광주군 돌마면, 낙생면으로 불리는 지역의 일부였다. 성남시 승격 초반까지도 분당과 그주변은 일각에서는 돌마와 낙생으로 불렸다. 이후 분당구가 설치되고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분당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역사

편집

역사적으로 광주군의 돌마면 일부(지금의 분당동·수내1동·수내2동·수내3동·정자1동·정자2동·정자3동·서현1동·서현2동·이매1동·이매2동·야탑1동·야탑2동·야탑3동)와 낙생면(지금의 금곡동·구미동·구미1동·판교동·삼평동·백현동·운중동)을 합친 것이며, 지리적으로는 용인군 수지면의 일부(현재의 구미동)도 포함한다.[3]

성남시조례 제1152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당구 설치 후
중원구 분당동분당구 분당동분당동·수내동·정자동·율동·서현동
중원구 이매동분당구 이매동이매동·야탑동
중원구 판교동분당구 판교동판교동·삼평동·백현동
중원구 금곡동분당구 금곡동금곡동·궁내동·동원동·구미동
중원구 운중동분당구 운중동운중동·대장동·석운동·하산운동
성남시조례 제1192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분당동분당동분당동·정자동, 수내동 일부, 서현동 일부
초림동수내동 일부
서현동율동, 서현동 일부
  • 1993년 1월 20일 분당동에서 서당동·수내동을, 이매동에서 매송동·하탑동을 분동했다.[7]
성남시조례 제1253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분당동분당동분당동·정자동, 수내동 일부
서당동서현동 일부
수내동수내동 일부
이매동이매동이매동 일부, 야탑동 일부
매송동이매동 일부
하탑동야탑동 일부
  • 1993년 6월 5일 분당동에서 내정동을, 이매동에서 야탑동·중탑동을 분동했다.[8]
성남시조례 제1272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분당동분당동분당동
내정동수내동 일부, 정자동
이매동이매동이매동 일부
야탑동야탑동 일부
중탑동
성남시조례 제1360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내정동내정동수내동 일부
정자동정자동
  • 1996년 1월 15일 정자동에서 신기동·불정동을, 금곡동에서 구미동을 분동했다.[10]
성남시조례 제1407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정자동정자동정자동
신기동
불정동
금곡동금곡동금곡동·궁내동·동원동, 구미동 일부
구미동구미동 일부
  • 2000년 10월 18일 수내동을 수내3동으로, 초림동을 수내1동으로, 내정동을 수내2동으로, 정자동을 정자2동으로, 불정동을 정자3동으로, 신기동을 정자1동으로, 서현동을 서현1동으로, 서당동을 서현2동으로, 이매동을 이매1동으로, 매송동을 이매2동으로, 야탑동을 야탑1동으로, 중탑동을 야탑3동으로, 하탑동을 야탑2동으로 개칭했다.[11]
  • 2005년 3월 21일 금곡동을 금곡1동·금곡2동으로 분동했다.[12]
성남시조례 제1971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금곡동금곡1동금곡동·궁내동
금곡2동동원동, 구미동 일부
성남시조례 제2277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판교동판교동판교동·백현동
삼평동삼평동
성남시조례 제2353호
행정구역법정구역
기존분동 후
판교동판교동판교동, 백현동 일부
백현동백현동 일부
  • 2015년 5월 1일 정자1동에서 정자동을 분동했다.[16]

행정 구역

편집
분당구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분당동盆唐洞3.4010,33828,287
수내1동藪內1洞1.037,17418,018
수내2동藪內2洞0.813,31111,000
수내3동藪內3洞0.945,44615,263
정자동亭子洞1.08,50421,286
정자1동亭子1洞2.4513,15930,484
정자2동亭子2洞0.547,75617,781
정자3동亭子3洞1.926,11616,741
서현1동書峴1洞7.4912,10132,567
서현2동書峴2洞0.796,76419,745
이매1동二梅1洞2.909,15327,451
이매2동二梅2洞0.684,64114,656
야탑1동野塔1洞1.167,50718,644
야탑2동野塔2洞0.646,29417,912
야탑3동野塔3洞5.0812,90631,691
판교동板橋洞2.937,59923,715
삼평동三坪洞3.348,62425,916
백현동栢峴洞1.969,74328,574
금곡동金谷洞5.3712,11330,274
구미1동九美1洞3.057,09818,647
구미동九美洞4.7713,02833,287
운중동雲中洞18.107,55221,135
분당구盆唐區69.77186,927503,074

인구

편집
연도총인구;
1995년320,622명
2000년382,771명
2005년416,970명
2010년458,405명
2015년478,339명

문화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성남시 중원구)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 → (용인시 수지구)
신분당선
(서울특별시 서초구) ← 판교역 - 정자역 - 미금역 → (용인시 수지구)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17]
2018년 4월 28일 개통
경강선
판교역 - 이매역 → (광주시)

버스

편집

도로

편집
  •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성남시 수정구) ← 대왕판교 나들목 - 판교 분기점 - 판교 나들목 - 서울 요금소 → (용인시 수지구)
용인서울고속도로
(성남시 수정구) ← 서판교 나들목 - 서분당(고기) 나들목 → (용인시 수지구)

교육

편집
  
  • 대학원대학교
  
  
  • 특수학교
  

갤러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 분당의 땅이름 이야기 9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분당구 연혁, 2017년 9월 4일 확인
  4. 성남시조례 제1134호
  5. 성남시조례 제1152호
  6. 성남시조례 제1192호
  7. 성남시조례 제1253호
  8. 성남시조례 제1272호
  9. 성남시조례 제1360호
  10. 성남시조례 제1407호
  11. 성남시조례 제1733호
  12. 성남시조례 제1971호
  13. 시조례 제2257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2008년 9월 22일)
  14. 성남시조례 제2277호
  15. 성남시조례 제2353호
  16. 성남시조례 제2868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2015년 4월 3일)
  17. “착공 5년만에 신분당선 미금역 4월말 개통…분당선 환승도 가능”. 2018년 2월 22일. 2018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