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특별시 노원구 당고개역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地下鐵 四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노원구 당고개역서울특별시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서울특별시도시 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우측통행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당고개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종점남태령역
(서울특별시 서초구)
역 수26
개통일1985년 4월 20일(상계~한성대입구)
1985년 10월 18일(한성대입구~사당)
1993년 4월 21일(당고개~상계)
1994년 4월 1일(사당~남태령)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1]
노선 제원
영업 거리31.1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US&S ATC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C 구간 80km/h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남태령)
14.2
당고개
15.4
상계
16.4
노원
17.8
창동
19.1
쌍문
20.6
수유
22.0
미아
23.5
미아사거리
24.8
길음
26.2
성신여대입구 우이신설선
27.2
한성대입구
28.1
혜화
29.6
동대문
30.3
동대문역사문화공원
31.6
충무로
32.3
명동
33.0
회현
33.9
서울역 경의·중앙선
33.9
숙대입구
36.1
삼각지
36.8
신용산
38.1
이촌 경의·중앙선
40.8
동작
42.6
총신대입구(이수)
43.7
사당
45.3
남태령
절연구간DC 1.5kV/AC 25kV↓
과천선 직결

역사

편집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명동, 남대문서울의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의 강북의 도시 교통 음영 지역을 원활하게 이어주기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 구자춘에 의하여 기존 지하철 건설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설 철도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1978년 8월 8.8조치로 인하여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부분이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 건설은 실패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건설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現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었다. 최초 준공 구간은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으로, 1985년에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이 개통되어 최종 준공되었으며, 1993년 4월 2기 지하철을 구성하는 당고개역이 신설되었다. 또한 1994년 4월 과천선과의 연계를 위하여 남태령역을 신설하여 오늘에 이른다. 전 구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특징

편집

서울역 - 동작 구간

편집

4호선을 계획할 당시, 본래의 노선 계획은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남산을 관통하여 용산구를 지난 후 강남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한미군 용산기지의 영내를 통과할 수 없어서 불가피하게 서쪽으로 우회하는 형태로 건설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운행 구간이 많이 중복되었고, 이들을 모두 환승역으로 건설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양끝의 이촌역동대문역, 중간 지점인 지하 서울역에서 환승하도록 하였다. 용산역신용산역, 남영역숙대입구역은 위치적으로 매우 근거리에 해당하나 환승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경원선 용산역~지상 청량리 구간의 운행 계통이 1호선에서 경의중앙선이라는 독립된 계통으로 분리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환승은 동대문역서울역, 창동역에서 이루어진다.

한강 이남 구간

편집

4호선의 한강 이남 구간은 동작역~사당역 구간 4.5km으로 짧은 편이다.

역 번호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사용하는 역 번호는 409번~434번이다. 405번~408번 이전은 진접선 당고개역 ~ 진접역 연장 구간에 부여되었으며, 435번~456번 이후로는 과천선안산선이 사용한다. 하행(오이도행)은 갈수록 역번호가 늘어나며 반대로 상행(진접행)은 갈수록 역번호가 줄어든다.

과천선 직결

편집

대한민국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 시절 철도법에 의하여 건설된 과천선서울특별시가 도시철도법에 의하여 건설한 4호선의 통행 방식 및 전력공급 방식이 달라 논의 끝에 결국 계획에 없던 입체 교차 터널 및 절연 구간을 신설하였다.

서울역 / 충무로 / 방학역 연결선

편집

1985년 3·4호선 개통 당시 전동차 반입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1호선 지하 서울역과 4호선 서울역 구간은 역 승강장간 선로 고도 구배 30/1000(경사도 약 1.718358도)를 충족, 임시로 연결 터널선로를 활용하여 가설 차량을 반입하려 했으나, 지반 강도 문제로 계획을 취소하고 창동역(당시 경원선 전철도 창동역 종착) 북쪽에 임시 가설 선로와 중랑천 도하 교량을 설치 하여 3호선과 4호선 전동차를 창동기지로 반입하였다. 또한 충무로역동대문역 사이에서 3호선 충무로역 남단으로 루프식 연결 터널을 설치, 3호선 열차 반입 작업을 하였다. 현재 방학역 연결선이 동부간선도로 건설로 폐선된 상태이다.

운영

편집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직류전용 전동차는 사당역까지 운행하며[7], 직·교류겸용 전동차는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으로 안산역, 오이도역까지 운행한다.

차량

편집

역 목록

편집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진접선 별내별가람역 방면
409당고개Danggogae堂嶺驛-0.0서울특별시노원구
410상계Sanggye上溪1.21.2
411노원Nowon蘆原 서울 지하철 7호선1.02.2
412창동Chang-dong倉洞 수도권 전철 1호선1.43.6도봉구
413쌍문Ssangmun雙門1.34.9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201 편성2005년운행 중
202 편성운행 중
203 편성운행 중
204 편성운행 중
205 편성운행 중
206 편성2017년운행 중
207 편성운행 중
208 편성운행 중
209 편성운행 중
210 편성운행 중
211 편성2018년운행 중
212 편성운행 중
213 편성운행 중
214 편성2019년운행 중
215 편성2007년운행 중
216 편성운행 중
217 편성운행 중
218 편성운행 중
219 편성운행 중
220 편성운행 중
221 편성운행 중
222 편성운행 중
223 편성2007년, 2022년운행 중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운행 중
225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7 편성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9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31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232 편성2019년운행 중
233 편성운행 중
234 편성운행 중
235 편성운행 중
236 편성운행 중
237 편성운행 중
238 편성운행 중
239 편성2018년운행 중
240 편성운행 중
241 편성운행 중
242 편성운행 중
245 편성2020년운행 중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2022년운행 중
247 편성운행 중
248 편성운행 중
256 편성2020년운행 중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2005년운행 중
258 편성2007년운행 중
259 편성운행 중
260 편성운행 중
261 편성2008년운행 중
262 편성운행 중
263 편성운행 중
264 편성운행 중
265 편성운행 중
266 편성운행 중
267 편성운행 중
268 편성운행 중
269 편성운행 중
270 편성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73 편성2019년운행 중
274 편성운행 중
275 편성2020년운행 중
276 편성운행 중
277 편성운행 중
278 편성운행 중
279 편성운행 중
280 편성운행 중
281 편성운행 중
282 편성운행 중
283 편성운행 중
284 편성운행 중
285 편성2018년운행 중
286 편성운행 중
287 편성운행 중
288 편성운행 중
289 편성운행 중
290 편성운행 중
291 편성운행 중
292 편성운행 중
293 편성2020년운행 중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201 편성2005년운행 중
202 편성운행 중
203 편성운행 중
204 편성운행 중
205 편성운행 중
206 편성2017년운행 중
207 편성운행 중
208 편성운행 중
209 편성운행 중
210 편성운행 중
211 편성2018년운행 중
212 편성운행 중
213 편성운행 중
214 편성2019년운행 중
215 편성2007년운행 중
216 편성운행 중
217 편성운행 중
218 편성운행 중
219 편성운행 중
220 편성운행 중
221 편성운행 중
222 편성운행 중
223 편성2007년, 2022년운행 중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운행 중
225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7 편성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9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31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232 편성2019년운행 중
233 편성운행 중
234 편성운행 중
235 편성운행 중
236 편성운행 중
237 편성운행 중
238 편성운행 중
239 편성2018년운행 중
240 편성운행 중
241 편성운행 중
242 편성운행 중
245 편성2020년운행 중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2022년운행 중
247 편성운행 중
248 편성운행 중
256 편성2020년운행 중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2005년운행 중
258 편성2007년운행 중
259 편성운행 중
260 편성운행 중
261 편성2008년운행 중
262 편성운행 중
263 편성운행 중
264 편성운행 중
265 편성운행 중
266 편성운행 중
267 편성운행 중
268 편성운행 중
269 편성운행 중
270 편성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273 편성2019년운행 중
274 편성운행 중
275 편성2020년운행 중
276 편성운행 중
277 편성운행 중
278 편성운행 중
279 편성운행 중
280 편성운행 중
281 편성운행 중
282 편성운행 중
283 편성운행 중
284 편성운행 중
285 편성2018년운행 중
286 편성운행 중
287 편성운행 중
288 편성운행 중
289 편성운행 중
290 편성운행 중
291 편성운행 중
292 편성운행 중
293 편성2020년운행 중


424명동Myeong-dong明洞0.718.1425회현(남대문시장)Hoehyeon (Namdaemun Market)會賢(南大門市場)0.718.8426서울역Seoul Station首爾驛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부선
경의선0.919.7용산구427숙대입구(갈월)Sookmyung Women's Univ. (Garwol)淑大入口(葛月)1.020.7428삼각지Samgakji三角地 서울 지하철 6호선1.221.9429신용산Sinyongsan新龍山0.722.6430이촌(국립중앙박물관)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二村(國立中央博物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1.323.9431동작(현충원)Dongjak (Seoul National Cemetery)銅雀(顯忠院) 서울 지하철 9호선2.726.6동작구432총신대입구(이수)Chongsin Univ. (Isu)總神大入口(梨水)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1.828.4433사당Sadang舍堂 서울 지하철 2호선1.129.5434남태령Namtaeryeong南泰嶺1.631.1서초구과천선 선바위역 방면

이용객 변동

편집

진접(경복대) ~ 오이도 구간만 해당된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호선승차631,638632,293641,039628,342638,702630,800627,585614,859604,256611,036[8]
하차630,415632,741639,422630,241641,066635,131631,798619,625614,566620,199
승하차1,262,0541,265,0341,280,4611,258,5841,279,7681,265,9311,259,3811,234,4841,218,8221,231,235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4호선승차622,237632,985626,110626,536631,110615,418614,292596,182577,521577,994
하차630,992642,956635,560632,534635,281620,140619,710600,614584,673586,038
승하차1,253,2291,275,9411,261,6701,259,0701,266,3911,235,5581,234,0021,197,0961,162,1941,164,032
노선2020년
4호선승차394,908
하차397,902
승하차792,810

미래

편집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전 구간 급행화할 계획이 있다.[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