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래틀리 군도

남중국해의 제도

스프래틀리 군도(영어: Spratly Islands)는 남중국해 남부 해상에 있는 군도로, 필리핀의 서쪽, 베트남의 동쪽, 보르네오섬(말레이시아브루나이)의 북쪽, 중국의 남쪽에 위치해있다.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필리핀의 영토 분쟁 지역으로, 현재 분쟁 당사국들이 섬을 하나하나를 각각 실효 지배하고 있다.(→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스프래틀리 군도
다른이름: 난사 군도, 쯔엉사 군도, 칼라얀 군도
지리
위치남중국해
좌표북위 10° 동경 114°  / 북위 10° 동경 114°  / 10; 114

구성 도서750개 이상

면적5km 미만
해안선926km
최고점남서 소도 4m
실효 지배
영유권 주장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사바주

베트남의 기 베트남
카인호아성
쯔엉사현
브루나이의 기 브루나이
EEZ브루나이 구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가오슝시 치진구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 싼사시

필리핀의 기 필리핀
팔라완주

인구 통계
인구0명

지리

편집

1939년 스프래틀리 군도는 대부분 새들이 서식하는 산호섬이었다.[1]중국의 1986년 소식통에 따르면 자연적으로 19개의 섬으로 구성된 군도임에도 14개의 섬, 6개의 둑, 113개의 수중 암초, 35개의 수중 둑, 21개의 수중 모래톱으로 이루어져 있다.[2]스프래틀리 군도의 북동부는 위험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낮은 섬, 가라앉은 암초, 퇴화된 가라앉은 환초들이 바다 깊이에서 1,000 미터 (3,300 ft) 이상 갑자기 솟아오르는 경우가 많아 항해에 위험한 지역이다.이곳은 거의 경작 가능지가 없고, 토착민도 없으며, 식수 또한 구하기 힘들다.[3]

경제

편집

이곳의 천연자원은 어류가 많이 잡히며, 구아노, 석유, 천연가스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4] 경제활동에는 어업, 구아노 광업,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그리고 최근에는 관광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몇 개의 주요 항로 근처에 위치해 있다.

명칭

편집

영토 분쟁을 겪는 지역인 만큼 나라마다 부르는 명칭이 각각이다.

역사

편집

주요 해양 지물

편집

면적순

편집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해수면 위의 면적이 존재하는 (island), 케이(cay), (reef)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도서명환초 위치자연 면적 (ha.)위치실효 지배매립 면적 (ha.)
1이투아바섬
Itu Aba Island
Tizard Bank46.00북위 10° 23′ 동경 114° 21′  / 북위 10.383° 동경 114.350°  / 10.383; 114.350타이완 (타이핑섬)~6
2티투섬
Thitu Island
Thitu Reefs37.20북위 11° 03′ 동경 114° 17′  / 북위 11.050° 동경 114.283°  / 11.050; 114.283필리핀 (파가사섬)
3웨스트요크섬18.60북위 11° 05′ 동경 115° 01′  / 북위 11.083° 동경 115.017°  / 11.083; 115.017필리핀 (리카스섬)
4스프래틀리섬Spratly Island13.00북위 08° 38′ 동경 111° 55′  / 북위 8.633° 동경 111.917°  / 8.633; 111.917베트남 (쯔엉사섬)~15
5노스이스트 케이North Danger Reef12.70북위 11° 28′ 동경 114° 21′  / 북위 11.467° 동경 114.350°  / 11.467; 114.350필리핀 (파롤라섬)
6사우스웨스트 케이North Danger Reef12.00북위 11° 26′ 동경 114° 20′  / 북위 11.433° 동경 114.333°  / 11.433; 114.333베트남 (송뜨따이섬)~3
7신카우섬Union Banks08.00북위 09° 52′ 동경 114° 19′  / 북위 9.867° 동경 114.317°  / 9.867; 114.317베트남 (신똔섬)~11
8난샨섬Nanshan Group07.93북위 10° 45′ 동경 115° 49′  / 북위 10.750° 동경 115.817°  / 10.750; 115.817필리핀 (라왁섬)
9샌드 케이Tizard Bank07.00북위 10° 23′ 동경 114° 28′  / 북위 10.383° 동경 114.467°  / 10.383; 114.467베트남 (선까섬)~4
10로아이따섬Loaita Bank06.45북위 10° 40′ 동경 114° 25′  / 북위 10.667° 동경 114.417°  / 10.667; 114.417필리핀 (코타섬)
11스왈로 암초Swallow Reef06.20북위 07° 22′ 동경 113° 50′  / 북위 7.367° 동경 113.833°  / 7.367; 113.833말레이시아 (라양라양 암초)~38
12남옛섬Tizard Bank05.30북위 10° 11′ 동경 114° 22′  / 북위 10.183° 동경 114.367°  / 10.183; 114.367베트남 (남옛섬)
13암보이나 케이Amboyna Cay01.60북위 07° 51′ 동경 112° 55′  / 북위 7.850° 동경 112.917°  / 7.850; 112.917베트남 (안방섬)
-그리어슨 암초Union Banks01.60북위 09° 51′ 동경 114° 29′  / 북위 9.850° 동경 114.483°  / 9.850; 114.483베트남 (신똔동섬)~2
-웨스트 런던 암초London Reefs01.10북위 08° 52′ 동경 112° 15′  / 북위 8.867° 동경 112.250°  / 8.867; 112.250베트남 (다떠이A섬)~28
-센트럴 런던 암초London Reefs00.88북위 08° 56′ 동경 112° 21′  / 북위 8.933° 동경 112.350°  / 8.933; 112.350베트남 (쯔엉사동섬)~2
14플랫섬Nanshan Group00.57북위 10° 49′ 동경 115° 49′  / 북위 10.817° 동경 115.817°  / 10.817; 115.817필리핀 (파타그섬)
15로아이타 케이Loaita Bank00.53북위 10° 43′ 동경 114° 21′  / 북위 10.717° 동경 114.350°  / 10.717; 114.350필리핀 (멜초라아키노섬)
16란키암 케이Loaita Bank00.44북위 10° 43′ 동경 114° 32′  / 북위 10.717° 동경 114.533°  / 10.717; 114.533필리핀 (파나타섬)
-미스치프 암초Mischief Reef00.00북위 09° 56′ 동경 115° 32′  / 북위 9.933° 동경 115.533°  / 9.933; 115.533중국 (메이지초)~558
-수비 암초Thitu Reefs00.00북위 10° 55′ 동경 114° 04′  / 북위 10.917° 동경 114.067°  / 10.917; 114.067중국 (주비초)~395
-피어리크로스 암초Fiery Cross Reef00.00북위 09° 36′ 동경 111° 57′  / 북위 9.600° 동경 111.950°  / 9.600; 111.950중국 (융수초)~274
-쿼테론 암초London Reefs00.00북위 08° 52′ 동경 112° 50′  / 북위 8.867° 동경 112.833°  / 8.867; 112.833중국 (화양초)~23
-게이븐 암초Tizard Bank00.00북위 10° 13′ 동경 114° 13′  / 북위 10.217° 동경 114.217°  / 10.217; 114.217중국 (시난초)~14
-존슨 사우스 암초Union Banks00.00북위 09° 43′ 동경 114° 17′  / 북위 9.717° 동경 114.283°  / 9.717; 114.283중국 (츠과초)~11
-휴스 암초Union Banks00.00북위 09° 55′ 동경 114° 30′  / 북위 9.917° 동경 114.500°  / 9.917; 114.500중국 (둥먼초)~8
-피어슨 암초SW Dangerous Ground00.00북위 08° 58′ 동경 113° 42′  / 북위 8.967° 동경 113.700°  / 8.967; 113.700베트남 (판빈섬)~3
-콘월리스 사우스 암초SW Dangerous Ground00.00북위 08° 43′ 동경 114° 11′  / 북위 8.717° 동경 114.183°  / 8.717; 114.183베트남 (누이레 암초)~1

실효 지배국별

편집
스프래틀리 군도에 속해 있는 섬들을 점유하고 있는 국가 현황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laudius Madrolle (1939). “La question de Hai-nan et des Paracels” [The question of Hai-nan and Paracel]. 《Politique étrangère》 (프랑스어) 4 (3): 302–312. doi:10.3406/polit.1939.5631. 2018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7일에 확인함. 
  2. “The Impact of Artificial Islands on Territorial Disputes Over The Spratly Islands, by Zou Keyuan”.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7일에 확인함. 
  3. Mark E. Rosen (2016년 7월 18일). “China Has Much to Gain From the South China Sea Ruling”. 《The Diplomat》 (미국 영어). 2017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7일에 확인함. 
  4. 그러나 2013년 미국 EIA 보고서는 많은 잠재적 매장량의 경제적 생존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