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산역

서울지하철 4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신용산역(Sinyongsan station, 新龍山驛)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전철역이다.

신용산
(아모레퍼시픽)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12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역 번호 429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경복대) 기점 36.8 km
← 428 삼각지
(0.7 km)
430 이촌
(1.3 km)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다.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승강장

편집
삼각지
| |
이촌
상행 수도권 전철 4호선삼각지 · 명동 · 동대문 · 창동 · 진접(경복대) 방면
하행이촌 · 동작 · 과천 · 금정 · 안산 · 오이도 방면

역 주변

편집

기타

편집

상가 접속 지하보도

편집

신용산역과 용산전자상가 단지를 잇는 신용산 지하보도에는, 서울시 도시갤러리추진단 주관으로 추계예술대 정원철 교수가 기획·제작한 알루미늄 판화 작품 2000여 개가 붙어 있다. 길이 50cm 삼각기둥 모양의 알루미늄판에는 1980년대~1990년대 용산전자상가 전성기 시절 인기를 끌던 전자부품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공공디자인 작품이 된 이곳의 이름은 "S-peed back! 그곳"으로 지어졌다.[3]

1990년대만 해도 이곳에 용산 물건팔이들이 모여들어 빨간 비디오를 팔거나 노점상을 열어 물건을 팔고는 했으나, 요즘에는 플라스틱 마감재로 깔끔하게 마감된 모습만 볼 수 있다. CCTV가 있어서 그런지 지금은 간간히 지나다니는 사람만 있을뿐, 노점상들은 없다.

용산역으로의 환승

편집

이 역은 용산역과 서로 다른 별개의 지하철역으로서 환승은 불가하다. 다만 3번 출구를 통해 나온 뒤 50미터가량 걸은 뒤 100미터가량 걸어가면 용산역에 도착할 수 있다.

이용객 변동

편집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호선승차17,16517,61517,38417,31317,58718,60618,79018,07316,98415,833[4]
하차17,19718,27718,09617,96818,39219,84920,18319,44118,38117,160
승하차34,36235,89235,48035,28135,97838,45538,97337,51435,36532,994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4호선승차15,44614,73714,50813,80313,61313,44613,40013,24715,525
하차16,70815,95815,56014,83814,53914,32314,17313,95716,249
승하차32,15430,69530,06828,64128,15327,76927,57327,20431,774

사진

편집

인접한 역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428 삼각지
진접(경복대) 방면
수도권 전철 4호선
430 이촌
오이도 방면

각주

편집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2.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3. 최선욱 기자 (2008년 11월 20일). “도시는 미술관 ⑩ 굴다리에 새긴 ‘용산 키드의 추억”. 중앙일보. 2009년 7월 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