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다 스윈튼

잉글랜드의 배우

캐서린 머틸다 "틸다" 스윈튼(영어: Katharine Matilda "Tilda" Swinton 틸다 스윈턴[*], 1960년 11월 5일~)은 스코틀랜드배우이다. 스윈튼은 《올란도》, 《번 애프터 리딩》, 《비치》, 《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 등 많은 영화에 출연했으며 《딥 엔드》, 《케빈에 대하여》로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마이클 클레이튼》으로 2008년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틸다 스윈튼
Tilda Swinton
2019년 모습
본명캐서린 머틸다 스윈턴
Katherine Mathilda Swinton
출생1960년 11월 5일(1960-11-05)(63세)
잉글랜드 런던
직업배우
활동 기간1984년 ~ 현재
배우자존 번(1989년~2003년)
잔드로 코프(2004년~)
자녀아너 스윈튼 번(딸)
자비에 스윈튼 번(아들)

초기 생애

편집

출생

편집

틸다 스윈튼은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났다.[1] 스윈튼가는 중세의 사료에 따르면 고대 앵글로-스코틀랜드 혈통의 집안이다.[2]

아버지 존 스윈튼은 군인이자 공무원으로,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여 1989년부터 2000년까지 베릭셔 카운티의 부지사(Deputy Lieutenant)를 맡은 인물이며 그 공로로 경(Sir)의 호칭[주 1]을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어머니 주디스 밸푸어(Judith Balfour)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다.[3][4]

아버지쪽 증조할아버지는 문장관(Officer of arms)을 지낸 스코틀랜드의 정치가 조지 스윈튼이며, 어머니쪽 증조할아버지는 스코틀랜드의 식물학자 존 허턴 밸푸어이다.[5]

학창 시절

편집

스윈튼은 퀸스게이트 스쿨(Queen's Gate School), 웨스트히스 여학교(The New School at West Heath), 페티스 칼리지(Fettes College) 등 사립 학교 3곳에서 교육받았다. 이 중 웨스트히스 여학교에 다닐 때는 다이애나 왕세자비와 동창으로 지내기도 하였다.[6][7]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뉴홀 칼리지(現 머리 에드워즈 칼리지)에서 사회학, 정치학을 전공해 1983년 졸업했다. 대학교 시절 스윈튼은 영국 공산당에 가입했고,[8] 이후에는 스코틀랜드 사회당에 가입했다.[9]

출연 작품

편집
연도영화배역비고
1986년카라밧지오
1987년대영제국의 몰락
1989년전쟁 레퀴엠
1990년가든
1991년에드워드 2세제48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볼피컵 여우주연상)
1993년블루
올란도제19회 시애틀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제33회 데살로니키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비트겐슈타인
1994년리멤브랜스 오브 씽스 패스트
1996년성도착증 여자이브 스티븐스
1998년사랑의 악마
1999년전쟁 지역
2000년비치
큐비스트
2001년딥 엔드
바닐라 스카이
2002년어댑테이션발레리 토마스
2003년영 아담
스테이트먼트
2005년브로큰 플라워페니
썸석커오드리 코브
콘스탄틴가브리엘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하얀 마녀
2006년스테파니 데일리리디 크레인
2007년마이클 클레이튼카렌 크로더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제80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런던에서 온 사나이
스트레인지 컬처본인
2008년줄리아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엘리자베스 애봇제35회 새턴 어워즈 (최우수 여우조연상)
제29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영국여우조연상)
나니아 연대기: 캐스피언 왕자하얀 마녀
번 애프터 리딩케이티 콕스
2009년리미츠 오브 컨트롤
아이 엠 러브엠마
2010년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하얀 마녀
2011년케빈에 대하여에바제24회 유럽영화상 (유러피안 여우주연상)
2012년문라이즈 킹덤사회복지사
라디오맨본인
2013년설국열차메이슨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이브
제로법칙의 비밀쉬링크 롬
데스 포 어 유니콘
2015년트레인렉
2016년닥터 스트레인지에이션트 원
헤일, 시저!테살리 대커
2017년옥자루시 미란도
2018년개들의 섬오라클애니메이션 영화
서스페리아마담 블랑 / 요제프 클렘페러 박사 / 헬레나 마르코스
2019년어벤져스: 엔드게임에인션트 원
데드 돈 다이젤다 윈스턴
더 퍼스널 히스토리 오브 데이비드 코퍼필드벳시 트롯우드
수베니어: 파트 I로설린드
언컷 젬스앤 (목소리)
2020년라스트 앤 퍼스트 맨나레이션
휴먼 보이스여자
2021년프렌치 디스패치J. K. L. 버렌슨
메모리아제시카 홀랜드
수베니어: 파트 II로설린드
2022년3000년의 기다림알리테아 비니
디 이터널 도터줄리 / 로절린드
피노키오터키색 머리카락을 가진 요정
2023년애스터로이드 시티히켄루퍼 박사
더 킬러전문가
2024더 룸 넥스트 도어마사
디 엔드

수상 내역

편집
  • 1991년 제48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볼피컵 여우주연상
  • 1992년 제33회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 1993년 제19회 시애틀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 2001년 제22회 보스턴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01년 라스베이거스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07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07년 댈러스-포트워스 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07년 디트로이트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07년 노스텍사스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08년 인터내셔널 온라인필름 크리틱스 폴 어워즈 여우조연상
  • 2008년 밴쿠버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08년 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여우조연상
  • 2008년 제80회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 2009년 제29회 런던비평가협회상 영국여우조연상
  • 2009년 제35회 새턴어워즈 최우수여우조연상
  • 2011년 제24회 유럽영화상 유러피안 여우주연상
  • 2011년 오스틴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11년 샌프란시스코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12년 제83회 미국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12년 휴스턴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12년 온라인영화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 2012년 미국 타임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 2013년 제6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본상
  • 2014년 앨리스 오브 우먼 필름 저널리스트 어워즈 여우조연상
  • 2014년 센트럴오하이오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14년 제35회 보스턴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14년 조지아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14년 라스베이거스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15년 밴쿠버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주해

편집
  1. 로열 빅토리아 훈장 2등급(KCVO, 작위급 훈장) 수훈. 2등급 이상의 훈장이기 때문에, 기사작위를 함께 받음.

각주

편집
  1. “Tilda Swinton biography at TildaSwinton.net”. 2012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31일에 확인함. 
  2. “Tilda Swinton, one of our most unique actors, talks to Gaby Wood | Magazine | The Observer”. London: Observer.guardian.co.uk. 2005년 10월 9일.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3. Hattenstone, Simon (2008년 11월 22일). “Winner takes it all”. 《The Guardian. 2012년 5월 23일에 확인함. 
  4. “Tilda Swinton Biography”. Tiscali.co.uk. 2009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5. "Tilda the Bruce; Genealogists reveal the extraordinary family link between actress and Scotland's warrior king." Archived 2012년 1월 18일 - 웨이백 머신 19 September 2009, The Daily Mail
  6. “Art and Film:Tilda Swinton”. 2013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일에 확인함. 
  7. Dunlop, Alan (2009년 6월 11일). “Fettes College Preparatory School, Edinburgh, by Page\Park Architects”. London: Architects Journal. 2012년 6월 18일에 확인함. 
  8. Gray, Sadie (2005년 11월 27일). “Profile Tilda Swinton White Witch takes a red and pink ride to stardom”. 《The Times》 (London). 
  9. Tilda Swinton: 'I was expected to marry a duke!', The Independent, 3 April 201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