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2017에서 넘어옴)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AFC Champions League 2017
개최기간2017년 1월 24일 ~ 11월 25일
결과
우승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번째 우승)
준우승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통계
최다 득점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최우수 선수일본 가시와기 요스케
« 2016
2018 »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6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5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우승 팀은 2017년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한다.

참가권 배정

편집
참가권 배정 기준[1]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참가 등급 충족
참가 등급 미달

참가 클럽

편집

일정

편집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은 아래와 같다.(모든 대진 추첨은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개최된다.).[6]

단계라운드대진추첨일1차전2차전
예선1차예선무추첨2017년 1월 24일
2차예선2017년 1월 25–31일
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2017년 2월 7–8일
조별리그매치데이 12016년 12월 13일2017년 2월 20–22일
매치데이 22017년 2월 27일–3월 1일
매치데이 32017년 3월 13–15일
매치데이 42017년 4월 10–12일
매치데이 52017년 4월 24–26일
매치데이 62017년 5월 8–10일
토너먼트16강전2017년 5월 22–24일2017년 5월 29–31일
8강전미정2017년 8월 21–23일2017년 9월 11–13일
준결승전2017년 9월 25–27일2017년 10월 16–18일
결승전2017년 11월 18일2017년 11월 25일

예선

편집

1차 예선

편집
팀 1결과팀 2
글로벌 필리핀2 - 0싱가포르 탬피니스 로버스
2017년 1월 24일 (2017-01-24)
19:30 UTC+8
글로벌 필리핀2 – 0 싱가포르 탬피니스 로버스마닐라, 리살 기념 경기장
관중: 1,120명
심판: 리우궉만 (홍콩)
리포트

2차 예선

편집

서아시아

편집
팀 1결과팀 2
알웨흐다트 요르단2 - 1인도 벵갈루루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4 - 0바레인 알히드
2017년 1월 31일 (2017-01-31)
18:00 UTC+2
알웨흐다트 요르단2 – 1 인도 벵갈루루암만,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관중: 10,000명
심판: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말레이시아
리포트

2017년 1월 31일 (2017-01-31)
16:00 UTC+5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4 – 0 바레인 알히드타슈켄트,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 2,888명
심판: 니본 로베시 가미니 (스리랑카)
리포트

동아시아

편집
팀 1결과팀 2
킷치 홍콩3 - 2 (연장)베트남 하노이 T&T
방콕 유나이티드 태국1 - 1
(4 - 5 PSO)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수코타이 태국5 - 0미얀마 야다나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6 - 0필리핀 글로벌 FC
2017년 1월 25일 (2017-01-25)
20:00 UTC+8
킷치 홍콩3 – 2 (연장전)베트남 하노이 T&T홍콩, 홍콩 스타디움
관중: 3,778명
심판: 이다 준페이 (일본)
리포트

2017년 1월 31일 (2017-01-31)
19:00 UTC+7
방콕 유나이티드 태국1 – 1 (연장전)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파툼타니, 탐마삿 스타디움
관중: 4,502명
심판: 중국 왕디
리포트
  승부차기 
4 – 5

2017년 1월 31일 (2017-01-31)
19:00 UTC+7
수코타이 태국5 – 0 미얀마 야다나본수코타이, 퉁 탈라이 루앙 경기장
관중: 4,865명
심판: 김동진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1월 31일 (2017-01-31)
19:00 UTC+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6 – 0 필리핀 글로벌 FC브리즈번, 브리즈번 스타디움
관중: 3,657명
심판: 카미스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플레이오프

편집

서아시아

편집
팀 1결과팀 2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3 - 0요르단 알웨흐다트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1 - 0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에스테글랄 이란0 - 0
(4 - 3 PSO)
카타르 알사드
엘자이시 카타르0 - 0
(1 - 3 PSO)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2017년 2월 7일 (2017-02-07)
20:15 UTC+4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3 – 0 요르단 알웨흐다트아부다비, 알나흐얀 스타디움
관중: 10,061명
심판: 재러드 질릿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2월 7일 (2017-02-07)
18:00 UTC+3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1 – 0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알하사,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관중: 7,439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2월 7일 (2017-02-07)
19:00 UTC+3:30
에스테글랄 이란0 – 0 (연장전)카타르 알사드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74,560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승부차기 
4 – 3

2017년 2월 7일 (2017-02-07)
18:15 UTC+3
엘자이시 카타르0 – 0 (연장전)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관중: 1,150명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승부차기 
1 – 3

동아시아

편집
팀 1결과팀 2
울산 현대 대한민국1 - 1
(4 - 3 PSO)
홍콩 킷치
감바 오사카 일본3 - 0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상하이 상강 중국3 - 0태국 수코타이
상하이 선화 중국0 - 2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2017년 2월 7일 (2017-02-07)
19:30 UTC+9
울산 현대 대한민국1 – 1 (연장전)홍콩 킷치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2,843명
심판: 스리랑카 헤티캄가남게 페레라
리포트
  승부차기 
4 – 3

2017년 2월 7일 (2017-02-07)
19:00 UTC+9
감바 오사카 일본3 – 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스이타,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관중: 8,149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리포트

2017년 2월 7일 (2017-02-07)
19:30 UTC+8
상하이 상강 중국3 – 0 태국 수코타이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25,860명
심판: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리포트

2017년 2월 8일 (2017-02-08)
19:45 UTC+8
상하이 선화 중국0 – 2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상하이, 훙커우 축구장
관중: 23,980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리포트

시드 배정

편집

서아시아

편집
  • 이란의 기 이란은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3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 사우디아라비아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2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1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카타르의 기 카타르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첫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A1, B2, C3, D4를 각각 차지한다.
  • 두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B1, C2, D3, A4를 각각 차지한다.
  • 세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C1, D2, A3, B4를 각각 차지한다.
  • 카타르의 리그 소속 팀 또는 우즈베키스탄의 리그 소속 팀은 D1, A2, B3를 각각 차지한다.
  •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는 C4를 차지한다.

동아시아

편집
  • 일본의 기 일본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2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1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3, 4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첫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E1, F2, G3, H4를 각각 차지한다.
  • 두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F1, G2, H3, E4를 각각 차지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리그 소속 팀은 G1과 H2를 각각 차지한다.
  •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3경기 승자는 F4를 차지한다.
  •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는 E3를 차지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리그 소속 팀은 H1과 F3를 각각 차지한다.
  • 대한민국이 첫 번째로 뽑히면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은 G4를, 일본이 첫 번째로 뽑히면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은 E2를 차지한다.
  • 홍콩의 리그 소속 팀은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의 위치에 따라 E2 또는 G4를 차지한다.

조별 리그

편집
경기






승점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6321105+511
이란 에스테글랄6321105+511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6123712−55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6123712−55
 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사우디아라비아이란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4-00-02-1
로코모티프 우즈베키스탄2-04-41-1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1-31-01-2
에스테글랄 이란1-12-03-0
2017년 2월 20일 (2017-02-20)
18:40 UTC+3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1 – 0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부라이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 25,879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2017년 2월 20일 (2017-02-20)
20:15 UTC+4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2 – 1 이란 에스테글랄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관중: 5,300명
심판: 피터 그린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2월 27일 (2017-02-27)
16:00 UTC+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2 – 0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4,000명
심판: 푸밍 (중국)
리포트
2017년 2월 27일 (2017-02-27)
19:30 UTC+4
에스테글랄 이란3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1,050명
심판: 일본 기무라 히로유키
리포트

2017년 3월 13일 (2017-03-13)
19:00 UTC+3:30
에스테글랄 이란2 – 0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42,369명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3월 13일 (2017-03-13)
20:30 UTC+4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관중: 2,335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16:00 UTC+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1 – 1 이란 에스테글랄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3,327명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21:00 UTC+3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1 – 3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부라이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 16,135명
심판: 리우궉만 (홍콩)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17:00 UTC+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4 – 4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3,155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20:15 UTC+4:30
에스테글랄 이란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76,428명
심판: 일본 이다 준페이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9:50 UTC+4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4 – 0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관중: 1,416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8:50 UTC+3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1 – 2 이란 에스테글랄도하 (카타르), 하마드 빈 칼리파 스타디움[7]
관중: 375명
심판: 헤티캄가남게 페레라 (스리랑카)
리포트
경기






승점
카타르 레크위야6420156+914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623165+19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613279−26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6024311−82
 이란아랍에미리트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1-11-11-0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0-11-30-0
레크위야 카타르2-13-04-1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1-13-12-2
2017년 2월 20일 (2017-02-20)
15:00 UTC+4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300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2017년 2월 20일 (2017-02-20)
16:50 UTC+3
레크위야 카타르3 – 0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관중: 2,836명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2월 27일 (2017-02-27)
18:10 UTC+3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2 – 2 카타르 레크위야알하사,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관중: 7,141명
심판: 일본 이다 준페이
리포트
2017년 2월 27일 (2017-02-27)
19:30 UTC+4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0 – 1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아부다비,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2,322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7:00 UTC+3:30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1 – 1 카타르 레크위야아바즈, 가디르 스타디움
관중: 16,600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8:20 UTC+3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3 – 1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알하사,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관중: 4,514명
심판: 헤티캄가남게 페레라 (스리랑카)
리포트

2017년 4월 10일 (2017-04-10)
18:30 UTC+3
레크위야 카타르2 – 1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관중: 2,506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2017년 4월 10일 (2017-04-10)
19:45 UTC+4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아부다비,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322명
심판: 중국 마닝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18:30 UTC+3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1 – 1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알라이얀 (카타르),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7]
관중: 467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20:00 UTC+4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1 – 3 카타르 레크위야아부다비,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36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20:00 UTC+4:30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1 – 1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아바즈, 가디르 스타디움
관중: 10,060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8:30 UTC+3
레크위야 카타르4 – 1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관중: 747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경기






승점
아랍에미리트 알아인6330147+71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6321107+311
이란 조브 아한621369−37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6105512−73
 사우디아라비아이란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2-02-22-0
조브 아한 이란1-20-32-1
알아인 아랍에미리트2-21-13-0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2-00-22-3
2017년 2월 21일 (2017-02-21)
19:15 UTC+4
알아인 아랍에미리트1 – 1 이란 조브 아한알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8,122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리포트
2017년 2월 21일 (2017-02-21)
20:15 UTC+3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2 – 0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지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 11,315명
심판: 일본 사토 류지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8:00 UTC+5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2 – 3 아랍에미리트 알아인타슈켄트,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 4,339명
심판: 재러드 질릿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15 UTC+4
조브 아한 이란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7,000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3월 13일 (2017-03-13)
18:00 UTC+5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0 – 2 이란 조브 아한타슈켄트,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 2,507명
심판: 리우궉만 (홍콩)
리포트
2017년 3월 13일 (2017-03-13)
20:30 UTC+3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2 – 2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지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 43,231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20:00 UTC+4:30
조브 아한 이란2 – 1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이스파한, 풀라드 샤흐르 스타디움
관중: 3,833명
심판: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19:35 UTC+4
알아인 아랍에미리트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알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9,224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리포트

2017년 4월 24일 (2017-04-24)
19:00 UTC+5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2 – 0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타슈켄트,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 1,307명
심판: 푸밍 (중국)
리포트
2017년 4월 24일 (2017-04-24)
20:30 UTC+4:30
조브 아한 이란0 – 3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이스파한, 풀라드 샤흐르 스타디움
관중: 6,321명
심판: 헤티캄가남게 페레라 (스리랑카)
리포트

2017년 5월 8일 (2017-05-08)
18:40 UTC+3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2 – 0 이란 조브 아한알라이얀 (카타르),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7]
관중: 260명
심판: 일본 사토 류지
리포트
2017년 5월 8일 (2017-05-08)
19:40 UTC+4
알아인 아랍에미리트3 – 0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알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6,244명
심판: 하미스 모하메드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경기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6330107+312
이란 페르세폴리스623198+19
카타르 알라이얀62131013−37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61141213−14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이란아랍에미리트
알라이얀 카타르3-43-12-1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2-10-01-0
페르세폴리스 이란0-01-14-2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5-12-22-3
2017년 2월 21일 (2017-02-21)
19:00 UTC+4
페르세폴리스 이란1 – 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13,715명
심판: 헤티캄가남게 페레라 (스리랑카)
리포트
2017년 2월 21일 (2017-02-21)
18:15 UTC+3
알라이얀 카타르2 – 1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6,967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10 UTC+4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2 – 3 이란 페르세폴리스아부다비, 알나흐얀 스타디움
관중: 7,655명
심판: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45 UTC+3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2 – 1 카타르 알라이얀리야드,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관중: 12,208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9:15 UTC+4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아부다비, 알나흐얀 스타디움
관중: 5,853명
심판: 일본 사토 류지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8:25 UTC+3
알라이얀 카타르3 – 1 이란 페르세폴리스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4,170명
심판: 푸밍 (중국)
리포트

2017년 4월 10일 (2017-04-10)
19:00 UTC+4:30
페르세폴리스 이란0 – 0 카타르 알라이얀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57,130명
심판: 사토 류지 (일본)
리포트
2017년 4월 10일 (2017-04-10)
20:00 UTC+3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1 – 0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리야드,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관중: 6,721명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리포트

2017년 4월 24일 (2017-04-24)
19:00 UTC+4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0 – 0 이란 페르세폴리스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10,177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2017년 4월 24일 (2017-04-24)
19:35 UTC+4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5 – 1 카타르 알라이얀아부다비, 알나흐얀 스타디움
관중: 936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2017년 5월 8일 (2017-05-08)
18:25 UTC+3
알라이얀 카타르3 – 4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4,934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2017년 5월 8일 (2017-05-08)
19:55 UTC+3:30
페르세폴리스 이란4 – 2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43,160명
심판: 푸밍 (중국)
리포트
경기






승점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6402135+812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632173+411
대한민국 울산 현대6213990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6114416−124
 일본태국오스트레일리아대한민국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2-13-02-0
무앙통 Utd 태국2-13-0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2-10-02-3
울산 현대 대한민국0-40-06-0
2017년 2월 21일 (2017-02-21)
19:00 UTC+9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2 – 0 대한민국 울산 현대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관중: 7,86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2월 21일 (2017-02-21)
20:00 UTC+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0 – 0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브리즈번, 브리즈번 스타디움
관중: 4,536명
심판: 파하드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30 UTC+9
울산 현대 대한민국6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울산광역시
관중: 1,303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30 UTC+7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2 – 1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12,569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일기즈 탄타셰프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9:00 UTC+9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3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관중: 6,558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19:30 UTC+9
울산 현대 대한민국0 – 0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1,327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리포트

2017년 4월 12일 (2017-04-12)
20:00 UTC+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2 – 1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브리즈번, 브리즈번 스타디움
관중: 5,567명
심판: 왕디 (중국)
리포트
2017년 4월 12일 (2017-04-12)
19:30 UTC+7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1 – 0 대한민국 울산 현대논타부리, 선더돔 스타디움
관중: 11,099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2017년 4월 26일 (2017-04-26)
19:30 UTC+9
울산 현대 대한민국0 – 4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1,194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7년 4월 26일 (2017-04-26)
19:30 UTC+7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3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논타부리, 선더돔 스타디움
관중: 11,807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2017년 5월 10일 (2017-05-10)
19:00 UTC+9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2 – 1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관중: 7,928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5월 10일 (2017-05-10)
20:00 UTC+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2 – 3 대한민국 울산 현대브리즈번, 브리즈번 스타디움
관중: 3,245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경기






승점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6402177+1012
중국 상하이 상강6402159+612
대한민국 FC 서울62041015−56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62041021−116
 대한민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중국
FC 서울 대한민국1-02-30-1
우라와 레드 일본5-26-11-0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2-30-43-2
상하이 상강 중국4-23-25-1
2017년 2월 21일 (2017-02-21)
20:00 UTC+11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오스트레일리아0 – 4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5,590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2017년 2월 21일 (2017-02-21)
19:30 UTC+9
FC 서울 대한민국0 – 1 중국 상하이 상강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18,764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5 – 2 대한민국 FC 서울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18,727명
심판: 리우궉만 (홍콩)
리포트
2017년 2월 28일 (2017-02-28)
19:30 UTC+8
상하이 상강 중국5 – 1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28,090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2017년 3월 15일 (2017-03-15)
19:30 UTC+9
FC 서울 대한민국2 – 3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4,769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3월 15일 (2017-03-15)
19:35 UTC+8
상하이 상강 중국3 – 2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35,333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20:00 UTC+10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오스트레일리아2 – 3 대한민국 FC 서울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5,356명
심판: 니본 로베시 가미니 (스리랑카)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1 – 0 중국 상하이 상강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21,858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4월 26일 (2017-04-26)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6 – 1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19,467명
심판: 하미스 모하메드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4월 26일 (2017-04-26)
19:30 UTC+8
상하이 상강 중국4 – 2 대한민국 FC 서울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35,003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2017년 5월 10일 (2017-05-10)
19:00 UTC+9
FC 서울 대한민국1 –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4,933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2017년 5월 10일 (2017-05-10)
20:00 UTC+10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오스트레일리아3 – 2 중국 상하이 상강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5,271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리포트
경기






승점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624081+710
중국 광저우 헝다6240185+1310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6231116+59
홍콩 이스턴6015124−231
 중국대한민국일본홍콩
광저우 헝다 중국2-21-17-0
수원 삼성 대한민국2-20-15-0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0-01-14-0
이스턴 홍콩0-60-11-1
2017년 2월 22일 (2017-02-22)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1 – 1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와사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관중: 11,150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리포트
2017년 2월 22일 (2017-02-22)
20:00 UTC+8
광저우 헝다 중국7 – 0 홍콩 이스턴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관중: 38,631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3월 1일 (2017-03-01)
19:00 UTC+9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2 – 2 중국 광저우 헝다수원,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9,228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2017년 3월 1일 (2017-03-01)
20:00 UTC+8
이스턴 홍콩1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홍콩, 웡곡대구장
관중: 5,787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20:00 UTC+8
이스턴 홍콩0 – 1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홍콩, 웡곡대구장
관중: 5,882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3월 14일 (2017-03-14)
20:00 UTC+8
광저우 헝다 중국1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광저우 시
관중: 38,532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4월 12일 (2017-04-12)
19:00 UTC+9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5 – 0 홍콩 이스턴수원,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2,758명
심판: 파하드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4월 12일 (2017-04-12)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0 – 0 중국 광저우 헝다가와사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관중: 13,481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19:00 UTC+9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0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수원,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3,642명
심판: 재러드 질릿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20:00 UTC+8
이스턴 홍콩0 – 6 중국 광저우 헝다홍콩, 웡곡대구장
관중: 5,916명
심판: 인도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8:30 UTC+8
광저우 헝다 중국2 – 2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관중: 38,576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9:3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4 – 0 홍콩 이스턴가와사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관중: 11,235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경기






승점
중국 장쑤 쑤닝650193+615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6312129+310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61231013−35
일본 감바 오사카6114713−64
 오스트레일리아중국대한민국일본
애들레이드 Utd 오스트레일리아0-13-30-3
장쑤 쑤닝 중국2-11-23-0
제주 Utd 대한민국1-30-12-0
감바 오사카 일본3-30-11-4
2017년 2월 22일 (2017-02-22)
19:30 UTC+10:3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오스트레일리아0 – 3 일본 감바 오사카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관중: 5,071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2017년 2월 22일 (2017-02-22)
20:00 UTC+9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0 – 1 중국 장쑤 쑤닝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3,688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2017년 3월 1일 (2017-03-01)
19:00 UTC+9
감바 오사카 일본1 – 4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스이타,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관중: 8,211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3월 1일 (2017-03-01)
19:35 UTC+8
장쑤 쑤닝 중국2 – 1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난징,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 41,033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2017년 3월 15일 (2017-03-15)
19:30 UTC+10:3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오스트레일리아3 – 3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관중: 3,539명
심판: 카미스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3월 15일 (2017-03-15)
19:00 UTC+9
감바 오사카 일본0 – 1 중국 장쑤 쑤닝스이타,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관중: 11,836명
심판: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20:00 UTC+9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1 – 3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2,289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리포트
2017년 4월 11일 (2017-04-11)
19:35 UTC+8
장쑤 쑤닝 중국3 – 0 일본 감바 오사카난징,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 37,926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19:00 UTC+9
감바 오사카 일본3 – 3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스이타,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관중: 9,209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2017년 4월 25일 (2017-04-25)
19:35 UTC+8
장쑤 쑤닝 중국1 – 2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난징,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 27,619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9:30 UTC+9:3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오스트레일리아0 – 1 중국 장쑤 쑤닝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관중: 6,797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2017년 5월 9일 (2017-05-09)
19:00 UTC+9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2 – 0 일본 감바 오사카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3,256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

편집

16강전

편집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와 각각 맞붙으며 각 조 2위의 홈에서 1차전이 치러지고 각 조 1위의 홈에서 2차전이 치러진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서아시아
에스테글랄 이란2 - 6아랍에미리트 알아인1 - 01 - 6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4 - 2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1 - 13 - 1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2 - 4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1 - 21 - 2
페르세폴리스 이란1 - 0카타르 레크위야0 - 01 - 0
동아시아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2 - 7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1 - 31 - 4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2 - 2 (a)일본 가시마 앤틀러스1 - 01 - 2
상하이 상강 중화인민공화국5 - 3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쑤닝2 - 13 - 2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2 - 3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2 - 00 - 3

서아시아

편집
2017년 5월 22일 (2017-05-22)
20:45 UTC+4:30
에스테글랄 이란1 – 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67,202명
심판: 중국 푸밍
리포트
2017년 5월 29일 (2017-05-29)
22:45 UTC+4
알아인 아랍에미리트6 – 1 이란 에스테글랄알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11,226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알아인이 합계 6-2로 8강 진출.


2017년 5월 22일 (2017-05-22)
20:45 UTC+3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지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 17,323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리포트
2017년 5월 29일 (2017-05-29)
23:00 UTC+4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관중: 3,993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가 합계 4-2로 8강 진출.


2017년 5월 23일 (2017-05-23)
20:00 UTC+4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시브 (오만), 알시브 스타디움[7]
관중: 2,670명
심판: 바레인 알리 압둘나비
리포트
2017년 5월 30일 (2017-05-30)
22:30 UTC+3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2 – 1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알라이얀 (카타르),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7]
관중: 1,620명
심판: 이다 준페이 (일본)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4-2로 8강 진출.


2017년 5월 23일 (2017-05-23)
19:30 UTC+4:30
페르세폴리스 이란0 – 0 카타르 레크위야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40명[8]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리포트
2017년 5월 30일 (2017-05-30)
22:00 UTC+3
레크위야 카타르0 – 1 이란 페르세폴리스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1,700명
심판: 중화인민공화국 마닝
리포트

페르세폴리스가 합계 1-0으로 8강 진출.

동아시아

편집
2017년 5월 23일 (2017-05-23)
19:30 UTC+7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1 – 3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논타부리, 선더돔 스타디움
관중: 12,500명
심판: 카미스 알마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5월 30일 (2017-05-30)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4 – 1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가와사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관중: 11,931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가와사키 프론탈레가 합계 7-2로 8강 진출.


2017년 5월 23일 (2017-05-23)
20:00 UTC+8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1 – 0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관중: 39,863명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2017년 5월 30일 (2017-05-30)
19:00 UTC+9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2 – 1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관중: 11,388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합계 2-2 기록, 광저우 헝다원정 다득점에서 앞서 8강 진출.


2017년 5월 24일 (2017-05-24)
20:00 UTC+8
상하이 상강 중화인민공화국2 – 1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쑤닝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23,093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이라크)
리포트
2017년 5월 31일 (2017-05-31)
20:00 UTC+8
장쑤 쑤닝 중화인민공화국2 – 3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상강난징, 난징 올림픽 체육장
관중: 37,269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상하이 하이강|상하이 상강이 합계 5-3으로 8강 진출.


2017년 5월 24일 (2017-05-24)
15:00 UTC+9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2 –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제주, 제주종합경기장[9]
관중: 1,913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7년 5월 31일 (2017-05-31)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3 – 0 (연장)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19,149명
심판: 리우궉만 (홍콩)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3-2로 8강 진출.

8강전

편집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서아시아
알아인 아랍에미리트0 - 3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0 - 00 - 3
페르세폴리스 이란5 - 3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2 - 23 - 1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5 - 5
(5 - 4 PSO)
중국 광저우 헝다4 - 01 - 5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4 - 5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3 - 11 - 4

서아시아

편집
2017년 8월 21일 (2017-08-21)
19:50 UTC+4
알아인 아랍에미리트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알아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 21,223명
심판: 피터 그린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17년 9월 11일 (2017-09-11)
20:00 UTC+3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3 – 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관중: 42,146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3-0으로 준결승 진출.


2017년 8월 22일 (2017-08-22)
20:00 UTC+4
페르세폴리스 이란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6,500명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2017년 9월 12일 (2017-09-12)
19:15 UTC+4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1 – 3 이란 페르세폴리스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7]
관중: 5,820명
심판: 중국 마닝
리포트

페르세폴리스가 합계 5-3으로 준결승 진출.

동아시아

편집
2017년 8월 22일 (2017-08-22)
20:00 UTC+8
상하이 상강 중국4 – 0 중국 광저우 헝다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36,503명
심판: 바레인 나와프 슈크랄라
리포트
2017년 9월 12일 (2017-09-12)
20:00 UTC+8
광저우 헝다 중국5 – 1 (연장전)중국 상하이 상강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관중: 39,972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리포트
  승부차기 
4 – 5

합계 5-5 기록, 상하이 하이강|상하이 상강승부차기에서 승리하여 준결승 진출.


2017년 8월 23일 (2017-08-23)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3 – 1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와사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관중: 18,080명
심판: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리포트
2017년 9월 13일 (2017-09-13)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4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26,785명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5-4으로 준결승 진출.

준결승전

편집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6 - 2이란 페르세폴리스4 - 02 - 2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1 - 2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 - 10 - 1

서아시아

편집
2017년 9월 26일 (2017-09-26)
20:00 UTC+4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4 – 0 이란 페르세폴리스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7]
관중: 11,321명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리포트
2017년 10월 17일 (2017-10-17)
20:00 UTC+4
페르세폴리스 이란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무스카트 (오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7]
관중: 3,250명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6-2으로 결승 진출.

동아시아

편집
2017년 9월 27일 (2017-09-27)
20:00 UTC+8
상하이 상강 중국1 – 1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상하이, 상하이 경기장
관중: 33,513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2017년 10월 18일 (2017-10-18)
19:30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1 – 0 중국 상하이 상강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44,375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2-1으로 결승 진출.

결승전

편집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1 - 2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 - 10 - 1
2017년 11월 18일 (2017-11-18)
19:15 UTC+3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1 – 1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관중: 59,136명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2017년 11월 25일 (2017-11-25)
19:15 UTC+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57,727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2-1으로 승리.

득점 선수

편집
  탈락된 팀 / 이 단계에서 비활성화.
순위선수MD1MD2MD3MD4MD5MD62R12R2QF1QF2SF1SF2F1F2합계
1시리아 오마르 크르빈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12132110
2브라질 헐크중국 상하이 상강1111111119
브라질 하파에우 시우바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121111
4아랍에미리트 오마르 압둘라흐만아랍에미리트 알아인211127
브라질 알랑중국 광저우 헝다11122
브라질 카를루스 에두아르두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11113
브라질 히카르두 굴라르중국 광저우 헝다1123
이란 메흐디 타레미이란 페르세폴리스2131
9일본 고바야시 유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111126
이란 카베흐 레자에이이란 에스테글랄111111

참고: 예선에서 득점은 이 기록에서 제외된다. (Regulations Article 64.4).[10]

출처: AFC[11]

기록

편집

선수 수상 기록

편집
경기일도요타 금주의 선수
축구선수
조별리그
경기일 1[12]모로코 유세프 엘아라비카타르 레크위야
경기일 2[13]대한민국 김인성대한민국 울산 현대
경기일 3[14]대한민국 윤일록대한민국 FC서울
경기일 4[15]대한민국 고승범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경기일 5[16]아랍에미리트 칼리드 에이사아랍에미리트 알아인
경기일 6[17]우루과이 니콜라스 밀레시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토너먼트 단계
16강전 1차전[18]태국 티라신 댕다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16강전 2차전[19]아랍에미리트 오마르 압둘라흐만아랍에미리트 알아인
8강전 1차전[20]일본 고바야시 유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8강전 2차전[21]브라질 카를로스 에두아르도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준결승전 1차전[22]시리아 오마르 크르빈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준결승전 2차전[23]나이지리아 고드윈 맨샤이란 페르세폴리스
결승전[24]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브레이크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보관된 사본”. 2016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2. K리그 클래식 2016 2위인 전북 현대 모터스는 2013년에 있었던 스카우트의 심판에게 금품 수수한 혐의로 인해 AFC 독립 기관인 출전관리기구(ECB)에서 2017년 1월 18일에 출전권을 박탈하였다. 3위를 한 제주 유나이티드는 조별 리그로 직행하고 4위를 한 울산 현대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3. 광저우 헝다중국 FA컵 2016 우승 여부와 관계 없이 장쑤 쑤닝의 중국 슈퍼리그 제2순위 지위를 확정하였다.
  4.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이 2016년 10월 13일 서거하여 그 다음날 10월 14일 기준 타이 리그 2016 잔여 3경기를 전격 취소하여 리그를 조기 종료하였다. 당시 1위팀 무앙통 유나이티드가 우승 확정하고 2위팀 방콕 유나이티드가 최종 2위 확정하였다. 태국축구협회컵 우승팀은 준결승 진출팀 4팀 중 추첨으로 수코타이로 결정되었다.
  5. S리그 2016 우승팀인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는 일본 J리그 알비렉스 니가타의 위성팀이므로 싱가포르 리그 대표 자격으로 참가할 수 없다. 그래서, 2위팀 탬파인즈 로버스가 싱가포르 리그 대표 자격을 승계했다.
  6.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6 - 2018” (PDF). AFC. 
  7.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클럽 간의 모든 경기는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중립 지대에서 열렸다.
  8. 페르세폴리스는 AFC로부터 레크위야와의 16강전에서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르는 징계를 받았다. 이는 페르세폴리스가 알와흐다와의 조별 예선 홈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들의 부적절한 행동을 막지 못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9. 제주 유나이티드의 원래 홈 구장인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2017년 FIFA U-20 월드컵 경기가 열렸기 때문에 제주 유나이티드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홈 경기를 제주시 소재 제주종합경기장에서 치렀다.
  10. “2017 AFC Champions League Competition Regulations” (PDF). AFC. 
  11. “Top Goal Scorers (by Stage) – 2017 AFC Champions League (Group Stage, Round of 16, Knock-out Stage)”. 《the-afc.com》. AFC. 
  12. “ACL MD1 Toyota Player of the Week”. AFC. 2017년 2월 27일. 
  13. “ACL 2017 MD2 Toyota Player of the Week: Kim In-sung”. AFC. 2017년 3월 3일. 
  14. “ACL 2017 MD3 Toyota Player of the Week: Yun Il-lok”. AFC. 2017년 3월 16일. 
  15. “ACL 2017 MD4 Toyota Player of the Week: Ko Seung-beom”. AFC. 2017년 4월 14일. 2017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16. “ACL 2017 MD5 Toyota Player of the Week: Khalid Eisa”. AFC. 2017년 4월 28일. 
  17. “ACL 2017 MD6 Toyota Player of the Week: Nicolas Milesi”. AFC. 2017년 5월 12일. 2017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18. “#ACL2017 Round of 16 Toyota Player of the Week: Teerasil Dangda”. AFC. 2017년 5월 25일. 
  19. “#ACL2017 Toyota Player of the Week: Omar Abdulrahman”. AFC. 2017년 6월 1일. 
  20. “ACL 2017 Quarter-final 1st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Yu Kobayashi”. AFC. 2017년 8월 25일. 
  21. “ACL 2017 Quarter-final 2nd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Carlos Eduardo”. AFC. 2017년 9월 14일. 
  22. “ACL 2017 Semi-final 1st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Omar Khribin”. AFC. 2017년 9월 28일. 
  23. “ACL 2017 Semi-final 2nd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Godwin Mensha”. AFC. 2017년 10월 19일. 
  24. “ACL2017 Final Toyota Player of the Week: Mohammed Al Burayk”. AFC. 2017년 11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