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의 연예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에서 넘어옴)

SM 엔터테인먼트(영어: SM Entertainment Co., Ltd.)는 가수 겸 방송 진행자 출신의 이수만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연예기획사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83-21 (성수동1가)에 있다. 강타, 보아,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EXO, 레드벨벳, NCT, SuperM, aespa, RIIZE 등 다수의 가수과 연기자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스타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등의 활동으로 대한민국의 대표 연예기획사로 손꼽히고 있다. 2023년 이수만이 물러나고 카카오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39.87%의 지분을 취득하여 새로운 최대주주가 되었다.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SM Entertainment Co., Ltd.
형태주식회사, 대기업
창립1995년 2월 14일
(전신 SM기획 1989년 창립)
창립자이수만(총괄프로듀서)
시장 정보한국: 041510
상장일2000년 4월 27일
산업 분야음반,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이벤트 사업, 연예대행업
서비스음반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매니저업
본사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83-21, D타워동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핵심 인물
장철혁 (대표이사(CEO))
탁영준 (대표이사(COO))
이성수 (CAO)
강타 (Creative 이사)
보아 (이사)
제품음반 기획 및 제작 · 배급 · 유통 가수 · 연기자 매니지먼트업
매출액850,769,309,133원 (2022)
영업이익
91,007,611,263원 (2022)
82,028,551,863원 (2022)
자산총액1,463,023,492,474원 (2022)
주요 주주카카오+카카오엔터 39.87%
하이브 12.60%
종업원 수
601명 (2023.03)
계열사(주)에스엠스튜디오스
(주)SM C&C
(주)하늘을담다
(주)에스엠라이프디자인그룹
(주)모아엘앤비 인터내셔널
(주)미스틱스토리
(주)키이스트
(주)디어유
(주)DREAMMAKER Entertainment
(주)Beyond LIVE Corporation
(주)S.M.(Beijing) Entertainment Media
(주)SM ENTERTAINMENT JAPAN
(주)스트림미디어
(주)S.M. Entertainment USA
S.M. Innovative Holdings LLC
S.M. Innovative Amusement LLC
Creative Space Development LLC
Creative Space Development Property, LLC
Creative Space Entertainment Inc.
Creative Space Innovation Inc.
(주)크리에이션뮤직라이츠
(주)에스엠타운플래너
(주)에스엠컬처파트너스
(주)에스엠브랜드마케팅
(주)에스엠유니버스
(주)스튜디오리얼라이브
(주)갤럭시아에스엠
(주)에스팀
(주)SM TRUE
자본금11,902,250,500원 (2022)
웹사이트SM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멀티 제작센터

편집

1센터 (원 프로덕션)

편집

2센터 (프리즘 프로덕션)

편집

3센터 (레드 프로덕션)

편집

4센터 (네오 프로덕션)

편집
  • NCT (NCT U, NCT 127, NCT DREAM, NCT WISH)

5센터 (위저드 프로덕션)

편집

Virtual 프로덕션

편집
  • naevis(2024년 데뷔 예정)

레이블

편집

사내 레이블

편집
  • SM Classics: 클래식 음악 전문 레이블
  • ScreaM Records: 댄스 뮤직 레이블
  • KRUCIALIZE: 컨템퍼러리 R&B 레이블

CIC (사내 독립기업)

편집
  • 스튜디오 화이트: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소속 연예인

편집
소속 연예인직업구성원리더데뷔이전 구성원
강타가수--1996년-
보아-2000년
동방신기유노윤호, 최강창민유노윤호2003년김재중, 박유천, 김준수
슈퍼주니어이특, 희철, 예성, 신동, 시원, 려욱이특2005년강인, 기범, 한경, 성민
(타 기획사 소속)

은혁, 동해, 규현

강인---
성민---
소녀시대태연, 효연, 유리, 윤아태연2007년제시카
(타 기획사 소속)

써니, 티파니 영, 수영, 서현

제이민---
샤이니Key, 민호온유2008년종현
(타 기획사 소속)

온유, 태민

조미---
EXO수호, 찬열, 카이, 세훈수호2012년루한, 우이판, 황쯔타오, 장이씽
(타 기획사 소속)

시우민, 백현, , 디오

레드벨벳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아이린2014년-
NCT태일, 쟈니, 태용, 유타, ,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마크, 런쥔, 제노, 해찬, 재민, 천러, 지성, 샤오쥔, 양양, 헨드리, 시온, 리쿠, 유우시, 재희, 료, 사쿠야-2016년루카스, 쇼타로, 성찬
루카스--2018년-
aespa카리나, 지젤, 윈터, 닝닝카리나2020년
RIIZE쇼타로, 은석, 성찬, 원빈, 승한, 소희, 앤톤-2023년
레이든DJ
긴조
임레이
마비스타
김경식엔터테이너--
이동우
이재룡배우--1986년
유호정1991년
최종윤2006년
이철우2014년
라미2022년
조준영2020년
김지우2020년

현재 소속 연습생

편집
  • 나하은
  • 쇼헤이 (SM 루키즈 출신)
  • NCT Universe : LASTART 출연 연습생
    • 하루타
    • 캇쇼
    • 앤더슨
    • 헤이테츠
    • 정민

소속 프로듀서

편집
소속 프로듀서직업데뷔
송광식작곡가, 프로듀서1986년
켄지2002년
디즈2008년
앤드류 최2012년
Coach & Sendo2013년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 (가수)

편집
연도아티스트형태구성원데뷔연도응원봉 색팬클럽리더
SM기획 (SM엔터테인먼트 전신)
1990현진영과 와와솔로-1990없음없음없음
1991한동준1991
김광진
1993유영진솔로-1993없음
1994메이저그룹 (3인조)임범준, 서연수, 유한진1994임범준
J&J듀오김주현, 강준식김주현
SM엔터테인먼트
1996H.O.T.그룹 (5인조)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강타, 이재원1996하양Club H.O.T.문희준
1997S.E.S.그룹 (3인조)바다, 유진, 유수영1997펄보라Friends바다
1998신화그룹 (6인조)에릭, 김동완, 신혜성, 이민우, 전진, 앤디1998주황신화창조에릭
배드 보이스 써클그룹 (3인조)최일권, 신태권, 여인택없음없음최일권
1999플라이 투 더 스카이듀오브라이언, 환희1999하늘색Fly High없음
2000보아솔로-2000펄 옐로우Jumping BoA없음
2001강타H.O.T.해체1996하양Club K.I.T.
다나-2001펄 블루DANA For You
문희준H.O.T.해체1996하양Club H.I.T.
밀크그룹 (4인조)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2001분홍Milky Way박재영
2002블랙 비트그룹 (5인조)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2002검정Soul Black이소민
신비그룹 (3인조)유수진, 오상은, 유나펄 민트Linos유수진
추가열솔로-1986없음없음없음
윤상1990
이삭N지연듀오이삭, 지연2002펄 와인N지연
2003동방신기그룹 (2인조)유노윤호, 최강창민2003펄 레드Cassiopeia유노윤호
2004트랙스그룹 (3인조)제이, 김정모, 긴조2004펄 코발트 블루Traxian제이
2005천상지희 더 그레이스그룹 (4인조)린아, 다나, 선데이, 스테파니2005펄 핑크Shapley없음
슈퍼주니어그룹 (9인조)이특, 희철, 예성, 신동,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펄 사파이어 블루E.L.F이특
2006장리인솔로-2006파스텔 모카Chocolate없음
2007제이민2007연두J-Min Day
소녀시대그룹 (8인조)태연, 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 수영, 윤아, 서현파스텔 로즈S♡NE태연
2008샤이니그룹 (4인조)온유, Key, 민호, 태민2008펄 아쿠아 그린샤이니 월드온유
2009f(x)그룹 (4인조)빅토리아, 엠버, 루나, 크리스탈2009펄라이트 페리윙클MeU빅토리아
2012EXO그룹 (8인조)수호, 카이, 시우민, 백현, 찬열, , 디오, 세훈2012EXO-L수호
2013헨리솔로-2013펄 사파이어 블루Strings없음
2014조미2014Mitangs
레드벨벳그룹 (5인조)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파스텔 코랄ReVeluv아이린
2016NCT그룹 (26인조)태일, 쟈니, 태용, 유타, ,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마크, 런쥔, 제노, 해찬, 재민, 천러, 지성, 샤오쥔, 양양, 헨드리, 시온, 리쿠, 유우시, 재희, 료, 사쿠야2016펄 네오 샴페인NCTzen없음
2019레이든DJ-2017없음없음없음
2020aespa그룹 (4인조)카리나, 지젤, 윈터, 닝닝2020오로라색MY카리나
2023RIIZE그룹 (7인조)쇼타로, 은석, 성찬, 원빈, 승한, 소희, 앤톤2023미정BRIIZE없음

디스코그래피

편집

SMTOWN Concert

편집

비판

편집

끼워팔기 문제

편집

2002년 1월 20일 시작된 SBS 예능 프로그램 <토요일이 온다>는 해당 기획사 소속이었던 강타, 문희준, 유진, 전진을 공동 MC로 투입시켜[1] "순전히 시청률 올리기에 급급한 프로"라는 지적을 샀으며 결국 2002년 봄 개편 때 이들을 빼는 대신 이휘재, 유재석, 송은이 등을 공동 진행자로 투입시켰지만 특정 기획사(지패밀리) 소속 코미디언 3명을 공동 MC로 투입시켜 첫 회부터 방송 초기부터 ‘방송사와 기획사간 유착의혹’을 산 것 뿐 아니라 타 방송사에서 인기있었던 코너를 그대로 도용, 유사한 코너를 만들어냈다는 지적[2] 등의 이유 탓인지 2002년 5월 민언련 선정 4월 '이달의 나쁜방송' 불명예를 안았고[3] 결국 진행자들을 변경한 지 3개월 만에 프로그램이 간판이 내려졌으며 이 과정에서 <토요일이 온다>는 2002년 경실련 선정 '올해의 나쁜 프로그램 10선'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아야 했고[4] 이 프로그램 코너 중 하나인 '고향에 가자'는 개그우먼 김미화, 유정현 아나운서와 공동 MC로 활동한 탤런트 예지원이 본업인 연기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2002년 봄 개편 때 강타, 문희준, 유진, 전진 등과 동반 하차했으며 당시 '고향에 가자' 코너에서 예지원의 후임으로는 개그우먼 안선영이 들어왔고 이 과정에서 안선영이 첫 회부터 공동 MC로 활동한 SBS <스타고고>(토요일 오후 4시 50분)[5] 가 15회(2002년 4월 27일) 만에 막을 내려야 했는데 마지막회에서 방영 전 god, 핑클, 신화, 장나라, 장혁 등이 출연한다는 광고를 했으나 god 외엔 2~3분 정도만 나오거나 아예 출연조차 안 했고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 게시판에 100여건의 항의성 글이[6] 빗발치기도 했다.

노예계약 논란

편집

2001년 H.O.T.의 멤버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이 이른바 노예 계약을 주장하며 이수만을 비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회사를 나와 jtL을 결성했다.[7] 당시 세 멤버들의 주장에 따르면 음반 1장 당 받는 인세는 1인당 최저 20원이었다. 하지만 인세는 계약내용의 일부분으로 H.O.T.가 데뷔 전 체결한 계약은 현진영과 동일한 '5년 계약기간'에 수익을 'H.O.T.와 SM이 6:4로 분배'하는 계약조건으로 노예계약이라고 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세 멤버는 SM과 재계약 협상에서 합의 도출에 실패했고 SM을 떠나 SM 대표 출신 정해익과 손을 잡았다. 이 과정에 대해 이수만은 정해익이 이들을 부추겨 멤버들을 빼돌린 사건이라고 반발했다. 다른 멤버인 강타문희준은 기존계약은 노예계약이 아니라고 부정했으며 SM과 재계약에 합의했다.

또, 2009년 7월 말 동방신기의 멤버이던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는 회사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전속 계약 효력 중지 가처분 신청을, 12월 말에는 슈퍼주니어의 유일한 중국인 멤버였던 한경이 전속 계약 효력 부존재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동방신기 3인은 13년이라는 전속 계약 기간은 사실상 종신 계약을 의미하며, 계약 기간에 음반 수익 배분 등 회사로부터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했다며 불공정한 계약 조건임을 주장하였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SM에 세 멤버의 독자적인 연예 활동을 방해하지 말라고 지시하였으나 이후 SM은 한국 대중문화 예술 산업 총연합회(문산연) 명의로 각 방송사에 동방신기 3인 섭외 자제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는 등 지속적인 방송, 연예 활동을 방해해 수차례 법원과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지적을 받았다. 2009년 소송 시작 이후 지루한 법정 공방을 이어오던 4인과 SM은 2010년 12월 21일 한경이 1심 승소 판결을 받고 이에 불복해 항소하려던 SM이 2011년 9월 항소를 취하해 한경 소송 건이 먼저 종결되고, 2012년 11월 28일에는 동방신기 3인과 SM이 합의에 성공해 2009년 7월 31일자로 전속 계약을 종료시키고 향후 상호 제반 활동을 간섭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러나 동방신기 3인의 경우 소송의 주요 내용이 전속계약의 유·무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만 합의일 뿐 한경과 더불어 사실상 3인의 승소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또한, 3인의 활동을 방해한 적이 없다고 주장함과 달리 합의문에서 이후 연예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어 이제껏 3인의 방송 활동을 방해한 것을 시인한 셈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8] 현재 한경은 중국에서 개인 활동 중이며, 동방신기 3인은 JYJ라는 그룹을 결성해 박유천이 마약 문제로 그룹을 탈퇴할 때까지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하였고 박유천 탈퇴 후에는 김재중과 김준수 모두 개인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슈퍼주니어는 한경에 이어 기범강인까지 탈퇴하고 성민이 그룹 활동을 멈추면서 현재 9인조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방신기는 남은 두 멤버 유노윤호최강창민 2인조로 활동 중이다.

2014년 5월과 10월에도 EXO의 중국인 멤버 크리스루한이 각각 회사를 상대로 전속 계약 효력 부존재 확인 소송을 제기하였다. 크리스는 부속품이나 통제의 대상으로 취급했다고 주장했지만,[9] 2016년 7월 21일 법원의 결정 및 양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SM과 크리스, 루한과 체결된 전속계약은 원 계약대로 2022년까지 유효하게 존속함하고, 크리스, 루한대한민국일본을 제외한 지역에서 SM이 매니지먼트 권한을 위탁하여 활동을 하게 되며, 크리스, 루한은 회사에 그에 대한 매출 분배를 하게 되었다.[10]

2015년 8월에도 EXO에서 무단 이탈을 했던 중국인 멤버 타오도 역시 같은 소송을 제기했지만 2017년 4월에 법원에서 1심 재판부는 타오가 전속 계약기간 10년은 기본권을 침해할 정도의 부당한 기간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타오의 패소 판결을 내렸다. 이후 타오가 항소를 했지만 6개월 후 그해 10월에는 2심에서 같은 이유로 또 다시 한번 타오는 패소하고 만다. SM은 성명서를 통하여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시한 표준계약서를 토대로 맺은 계약이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하였다. 타오는 두 차례에 걸친 패소 이후 현재 중화권에서 독자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2018년 3월에는 대법원에서의 마지막 항소심에서 황쯔타오가 패소했다. 재판부는 황쯔타오의 해외진출 계획 등을 고려할 때 전속계약에서 정한 계약기간 10년은 부당하지 않다며,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전속계약서에 따라 계약해 불공정하지 않다며 SM 측 손을 들어줬다. SM은 “사법부의 현명한 판결에 대해서 환영한다”며 말했다. 현재 EXO는 9인조로 활동 중이다.

2023년 6월, EXO의 첸, 백현, 시우민(EXO-CBX, 첸백시)은 2022년 12월 30일자로 재계약을 맺은지 6개월 만에 부당계약이라며 계약해지 통보를 했다. 이들이 6월 1일 처음 밝힌 계약해지 사유는 SM 엔터테인먼트로부터 정산자료 및 정산근거의 사본을 제공 받지 못했으며 부당하게 긴 장기간 계약 기간 때문이라고 말했다.[11] 이후 6월 5일 자세한 재계약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2022년 12월 5년짜리 재계약 서류를 받았고, 지속적인 회유와 거부하기 힘든 분위기 조장 등 가스라이팅을 당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8번에 걸친 조율을 요청했지만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재계약 당시 카카오-하이브가 뛰어든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 때문에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한 채 엑소 멤버들과의 의리를 지키고 엑소를 지켜야겠다는 생각만으로 부당하게 재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재계약 체결 후인 2023년 6월,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개인 회사 라이크기획을 통한 아티스트 수익 침해 논란을 보고 정확한 정산자료를 요구했으나 SM측에서 정산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12] 2023년 6월 19일, EXO-CBX 멤버들과 SM은 전속계약을 유지하는 대신, 일부 수정을 하는 것으로 갈등을 해결했다.[13]

한편, 이수만은 2009년 4월 서울대학교 초청 강연에서 노예계약 문제와 관련해 사람이 죽으니까 프로덕션은 다 연예인들을 착취하고 악한 것처럼 얘기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항변하며 언제나 일부 악덕업자는 있는데 항상 싸잡아서 비판한다고 강연하였다.[14]

하이브 vs 카카오 경영권 분쟁

편집

로고

편집

사업 전개

편집

연예 매니지먼트와 음반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방송 컨텐츠 제작 등에도 진출해 있다.[15] 또한 소속 연예인들의 잇따른 해외 진출 등으로 국내 연예기획사들 중 최초로 2011년에는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기도 했다.[16]
2017년 3월, SM 엔터테인먼트는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지분 28%를 취득하며, 최대주주가 됐다.[17] 2018년 3월에는 국내 최대 배우 매니지먼트사 키이스트의 최대주주인 배우 배용준의 지분 1945만 주(25.12%) 전량을 500억원(주당 2570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이외에도 SM 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예능제작사 FNC 애드컬쳐 주식 750만 주를 인수하고 유상증자에 100억원을 출자해 총 1348만주(30.51%)를 확보한다고 공시했다. 아울러 FNC 애드컬쳐의 2대 주주(지분율 18%)인 FNC 엔터테인먼트와는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는다고 발표했다.
2023년에는 창립자 이수만이 총괄프로듀서에서 물러나고 하이브에 자신의 지분을 매각하였다. 이후 경영권 분쟁을 거쳐 카카오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39.87%의 지분을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한승주 (2002년 2월 27일). “[TV유감] SBS는 특정 기획사 ‘연예인 마당’?”. 국민일보.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2. 이영희 (2002년 4월 16일). “TV 오락프로 ‘겹치기·베끼기’ 추태”. 문화일보.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3. 이명조 (2002년 5월 16일). “민언련 `4월 좋은 방송' 선정”. 연합뉴스.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4. 황정우 (2002년 12월 17일). “경실련 '좋은.나쁜 프로그램 10선' 발표”. 연합뉴스.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5. 한승주 (2002년 12월 17일). “리포터·MC·코믹연기 맹활약 개그우먼 안선영”. 국민일보.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6. “SBS ‘스타GOGO’ 출연진 불참”. 서울신문. 2002년 4월 30일.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7. 김진성 (2015년 5월 16일). “H.O.T.부터 엑소까지, SM 남자 아이돌 계약분쟁 '잔혹사'. 티브이데일리. 2017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8. 이은정 (2009년 8월 3일). “동방신기 세멤버 “전속 계약내용 부당하다””. 한겨레.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9. 배예랑 (2014년 10월 10일). “연이은 가수들의 소송과 탈퇴…"SM에 무슨 일이?". 중앙일보.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0. 정유진 (2016년 7월 21일). “크리스 루한 대 SM 소송 종결 "원계약 유지... 매출 분배". OSEN.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1. PARK, JEONG SUN (2023년 6월 1일). “엑소 첸백시 "노예 계약" vs SM "정산 문제 없어"…MC몽 회사 관여했나[종합]”. JTBC. 2024년 4월 4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2. KIM, SOO JEONG (2023년 6월 6일). “첸백시 측 "SM과 재계약, 내용·과정 부당…엑소 지키기 위해 한 것". CBS노컷뉴스. 2024년 4월 4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3. 정, 빛 (2023년 6월 19일). “[전문]SM-첸백시, 갈등 봉합했다…"오해 해소, 원만한 합의". 조선일보. 2024년 4월 4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4. 장하나 (2009년 4월 8일). “이수만 "`노예계약' 일부 악덕업자 얘기". 연합뉴스.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5. 박영욱 (2013년 5월 30일). “SM,1분기 매출 332억 영업이익 77억 기록 공시…하반기 매출 확장 기대”. 스포츠동아.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6. 고승희 (2012년 3월 29일). ““역시 소녀시대” SM, 연예기획사 최초 매출 1000억 돌파”. 헤럴드경제.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7. 추영준 (2018년 3월 30일). “이수만 SM회장, "윤종신의 미스틱엔터 최대주주 됐다". 세계일보. 2018년 3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